제주시 주민복지시설 들쭉날쭉
2006-07-09 한경훈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제주시와 북제주군이 통합된 가운데 주민자치센터가 도시지역에 몰려 농촌주민은 문화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시에 따르면 현재 19개 동지역은 모두 주민자치센터를 갖추고 있으나 7개 읍면지역의 경우 구좌읍 1곳에만 마련돼 있다.
이는 정부 방침에서 비롯됐다. 2002년 공무원 구조조정 시 사무실 여유공간 활용의 일환으로 동지역은 주민자치센터 설치를 의무화한 반면 읍면지역은 시범적으로 운영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시ㆍ군 통합 등 행정환경이 변한 마당에 이 같은 기조를 유지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시ㆍ군 자치권의 폐지에 따른 읍면동 기능의 강화와 맞물려 주민자치센터와 주민자치위원회의 기능도 확대되는 점을 감안하면 지역간 복지 균형을 빨리 잡아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주민자치센터를 갖춘 동사무소의 경우 주민들의 문화공간으로 변신하고 있다. 요가, 풍물, 스포츠댄스, 서예 등 여가 프로그램 마련으로 지역주민의 발길도 잦아지고 있다.
그러나 동일 행정구역임에도 불구하고 읍면지역은 이 같은 문화복지의 혜택을 받지 못하면서 지역차별 논란도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시의 이에 대한 인식은 느긋하다. 기존 읍면의 개발자문위원회를 폐지, 주민자치위원회를 구성하고 담당직원도 배치했으나 주민자치센터 설치는 연차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제주시 관계자는 “조천읍의 경우 이전하는 소방서에 자치센터를 마련할 계획”이라며 “나머지 읍면도 회의실 등 빈 공간을 활용해 자치센터를 마련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