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 취임사 무얼 담았나
도민 '자치역략' 결집 최우선
5.31지방선거 갈등치유 …1ㆍ3차산업 진흥도 역설
'열린행정' 등 재연 …"새로운 내용 없다" 지적도
김태환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예상대로 취임사에서 지난해 시.군폐지에 따른 주민투표와 5.31지방선거 과정에서 나타난 갈등 치유를 위한 도민화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와 함께 도민들의 자치역량 강화를 역설했다.
김 지사는 취임사에서 “우리 도민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삼무정신을 일궈왔고 천년의 역사 속에서 한과 눈물의 역사를 화합과 상생의 역사로 승화시켜온 저력이 있다”면서 “시.군 통합과 지방선거 과정에서 생긴 생채기를 하루속히 치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도민 여러분의 마음을 추스르고 도민 여러분과 함께 위대한 제주, 평화와 번영의 새로운 제주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지난해 시.군폐지에 따른 주민투표에 이어 올 지방선거에 발생한 도민간 갈등은 특별자치도 출범 초기 김 지사가 구상하고 집행하는 정책들이 순항하기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넘어야 할 과제다.
자칫 도민간 갈라진 갈등들이 표면.장기화 될 경우 가뜩이나 산적한 지역현안들과 함께 김 태환호의 순항을 가로막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 지사는 도민화합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와 함께 도민들의 자치역량을 역설하면서 “지금 변화의 중심에 있는 제주특별자치도의 미래는 100만 내외 도민여러분들의 지혜와 의지를 결집해야만 이룰수 있다”며 “건강한 시대정신의 창출로 도민 대통합을 이루고, 성숙한 자치역량을 100% 발휘해 나가는데 선구자 역할을 해줄 것을 간곡히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이는 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제기된 각종 현안들에 대한 도민들의 ‘폭넓은 지지와 협조’를 부탁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실제 특별자치도의 전제조건이나 다름 없는 시.군폐지는 갈기갈기 흩어진 도민들의 의견을 한곳에 결집시킬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나 다름없다.
기존 4개 시장.군수와 시.군의회 체제로는 지역현안들에 대해 ‘한목소리’를 내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 지사는 이에 따라 앞으로 지역현안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도민들에게 이해를 구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대의명분’을 적극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는 이와 함께 취임사에서 △대화를 통한 현안해결 △산업구조 재편과 체질개선 △1차 산업 경쟁력 강화 △제주관광 재도약 △환경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발전 △제주문화예술 진흥 △4.3의 완전한 해결 △약자 배려의 수눌음 공동체 △행정개혁 등을 제시했다.
김 지사의 이 같은 도정운영의 원칙은 이미 김 지사가 지방선거 운동기간 중 공약으로 제시됐던 내용들로, 이번 취임사가 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한껏 높아진 도민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