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ㆍ물적 자원 제주시 집중…산남 낙후지역화
제주발전연구원, “방치 땐 사회계층간 격차 더욱 심화”
2006-06-06 정흥남 기자
이로 인해 제주시와 나머지 3개 시.군간 인구 경제 사회 문화격차가 ‘우려할만한 수준’에 이르면서 3개 시.군이 상대적 낙후지역으로 전락,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제주발전연구원은 최근 제주도에 제출한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보완계획’중간보고서에서 제주지역격차의 실태와 문제점을 이같이 지적한 뒤 제주시 집중화의 문제를 방치할 경우 지역 및 사회계층간 격차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시 지역의 경우 도내 전체 사업체 4만2531곳의 60.2%(2만5594곳)가 집중돼 있으며 사업체 종사자수 역시 10만4117명으로 도전체 16만7612명의 62.1%를 독차지 했다.
이와 함께 2004년을 기준으로 하는 사설 학원수 역시 591개소에 이르는 것을 비롯해 도서관과 공연 및 전시장과 지역 문화복지 지설 등도 도내 전체의 50%이상이 제주시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발전연구원은 이와 함께 제주시 지역에서도 정주권 집중현상이 나타나 시 권역별로도 불균형이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주발전연구원은 제주시 집중화 문제와 도심 지역간 격차의 문제는 상당히 구조적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이를 방치할 경우 지역 및 사회계층간 격차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한 개선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7월부터 제주시와 북제주군이 통합한 행정시인 제주시가 탄생할 경우 ‘제주시’인구는 전체의 72%가 집중되는 반면 서귀포시와 남군이 합쳐진 ‘서귀포시’는 제주도 전체에서 차지하는 인구비중이 불과 28% 수준에 머물러 산남.산북 불균형이 더욱 구체화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이 과정에서 제주도 전체의 정치.사회적 영향력이 ‘제주시’위주로 행사될 가능성이 높아 ‘서귀포시’를 중심으로 하는 산남 소외론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제주특별자치도의 새로운 해결과제로 떠오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