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美 LA 호접란 농장 1만3000평 처분
133억 ‘실패한 사업’ 손 떼
2006-04-18 정흥남 기자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는 최근 제주도 제출한 ‘미국 LA호접란 농장부지 현물출자 안’을 심의, 의결했다.
이번에 도의회 행자위가 심의, 의결한 현물 출자안은 제주도가 2001년 매입한 미국 LA인근 농장 4만2761㎡(1만2935평)과 농장시설물 등 시가 12억2579만원 상당어치다.
이에 앞서 제주도는 2004년 2월 제주개발공사와 업무위탁계약을 체결, 호접란 대미수출 사업을 개발공사에 위임했다.
제주도는 호접란 대미수출업무 위탁과 함께 보유하고 있던 미국 현지 농장까지 현물출자 형식을 통해 개발공사에 출자함에 따라 외형상 호접란 대미수출업무에서 완전히 손을 끊었다.
업무위탁과 함께 현물출자까지 시행함으로써 더 이상 위탁운영비 등 재정적 지출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주도는 지난해 10월 14일부터 18일까지 호접란 대미수출사업 실패에 따른 감사원 감사결과에 대해서는 일정부분 책임을 면할 수 없게 됐다.
결국 제주도는 2000년 이 사업을 직접 뛰어든 뒤 6년만에 사실상 호접란 수출사업에서 손을 떼게 된 것이다.
당초 이 사업을 직접 추진했던 제주도는 2001년 7월 수출마케팅에서 문제점이 노출되자 제주교역을 위탁업체로 선정, 업무 일부를 위탁했으나 문제가 잇따르자 2003년 10월에는 제주교역으로 위탁했던 사업 가운데 호접란 재배와 판매를 개발공사로 이양했다.
제주도는 이 과정에서 2003년말~2004년초 LA현지농장 공사비 등으로 45억원을 위탁운영비 명목으로 지원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호접란 사업에는 모두 133억원이 투입됐다.
이처럼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호접란 대미수출사업과 관련, 한국경제연구원은 2004년 11월 제주개발공사에 제출한 ‘호접란 수출사업에 대한 종합진단 연구용역 결과’을 통해 △사전 조사와 사업계획의 부실 △사업운영주체의 불분명성과 불투명한 예산집행 △현지농장 매입과 시설공사기일 연기 △호접란 재배기술 미흡과 유통의 다변화 부재 △관리감독과 효율적 조직체계의 미흡 등의 원인으로 실패했다고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