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 가공용수매 한계…산지폐기 등 수급대책 필요

2006-03-21     김용덕 기자
과잉생산과 수요 감소에 따른 감자 값 폭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가격 지지를 위한 가공용 수매도 한계, 이에 따른 산지폐기 등 수급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제주산 감자 값 폭락은 지난해 강원도 고랭지 감자를 시작으로 과잉생산에 따른 직격탄을 맞으면서 이달 하순부터 본격 출하예정인 봄 감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당근과 달리 감자의 경우 식량작물로 분류, 당근과 같은 산지폐기에 따른 수급안정대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감자 주산지인 대정 등 산지에서는 마땅한 대체작목이 없어 지금과 같은 가공수매로는 감자가격지지에 한계, 산지폐기 등 수급안정대책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정농협 관계자는 “산지물량 감축을 위해 지자체나 생산자단체가 추진하는 중하품 감가의 가공용수매로는 가격지지에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차원의 대책이 무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정부차원의 수급안정대책이 따르지 않는 것은 감자가 여전히 식량작물로 분류되고 있기 때문.
농협 관계자는 “감자는 예전에 식량대용으로 많이 소비됐지만 지금은 필수채소로 자리잡았다”면서 “그러나 정부가 감자를 식량작물로 분류해 산지폐기 등 수급안정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제주도감자출하대책위원회 허창옥 집행위원장은 “농가들도 생산조정 등 자체 노력을 해야하지만 정부도 감자를 식량작물이 아닌 채소로 분류하는 현실적인 농정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제는 더 있다. 감자의 경우 주산지 농협 조합장을 구성원으로 하는 전국협의회조차 없는 실정이다. 때문에 감자 값 폭락에 따른 제소리마저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