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ㆍ군 본청 916명 감축
'행정개편' 최종용역
2006-03-09 정흥남 기자
반면 특별자치도 제주도본청 조직의 경우 큰 폭으로 인원이 늘어 대조를 이루고 있다.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을 앞두고 공직사회에 대변혁이 몰아치고 있다.
제주도는 8일 서울대 한국행정연구소와 제주대 사회과학연구소에 지난해 9월 의뢰했던 ‘행정구조개편에 따른 행정조직 설계연구’ 최종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날 용역단이 제출한 최종 보고서는 앞으로 기구설치 및 정원조례 등을 통해 행정조직의 틀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기본 자료가 된다.
용역보고서는 우선 4개 시군이 폐지돼 2개 행정시가 탄생함에 따라 제주시와 북제주군이 통합해 만들어지는 제 1행정시(제주시)의 본청 인력을 1344(자치경찰 58명 포함)명으로 했다.
현재 제주시와 북군 본청 인력은 1821명인데 이에따라 당장 제주시와 북군 본청에서 477명의 인력이 줄어들게 된다. 또 서귀포시와 남제주군이 통합해 만들어 지는 제 2행정시(서귀포시) 본청은 885명(자치경찰 43명 포함)의 인력으로 재편되면서 439명의 인력이 축소된다.
결과적으로 현재 4개 시겚?본청 인력 3145명 가운데 29%에 해당하는 916명의 인력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시겚?본청의 이같은 재편으로 읍겦?동 기능이 보강됨에 따라 읍겦?동 인력은 현재 750명에서 1053명으로 40.4% 늘어난다.
시겚?본청의 이같은 인력감축와 달리 제주도 본청의 경우 현재 765명에서 1059명으로 38.4% 늘어날 전망이다.
도겫뼙뼈?경우 이처럼 순수한 행정인력 증가외에도 자치경찰(168명)과 특별행정기관(142명)까지 포함할 경우 특별자치도출범 때 본청 인력은 1227명으로 60% 비대해 진다.
한편 이번 조직개편에서 도의회 인원은 현재 56명에서 99명으로 갑절 가까이 늘어나게 되며 도 직속기관과 도사업소 역시 시겚?유사업무를 통합하면서 조직구성원수가 크게 늘었다.
한편 제주도가 이번에 행정조직개편을 통해 제시한 공무원인력은 기능직까지만 대상으로 한 것이다.
제주도는 일용직 직원들 조정문제와 관련, “불이익 배제의 원칙에 따라 300일이상 일용직은 현행대로 유지될 것”이라면서“300일 미만의 일용직은 해당 부서별로 재원상황에 따라 재임용 여부등이 결정된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조직개편으로 발생한 여유인력은 45~50명 수준으로 이들은 교육인력으로 소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