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ㆍ관, ‘감귤수호’발벗고 나서

특별대책위 출범…한ㆍ미 FTA 협상 적극대처 결의

2006-02-21     정흥남 기자

어제 각계 28명 향후 대응전략 협의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은 어떤 경우에도 쌀과 같은 제주이 생명산업으로 보호돼야 한다’
제주지역 농가 및 학계와 행정 및 농업단체 등 감귤산업 전문가들로 구성된 ‘한.미 FTA협상 등 대응을 위한 제주도 감귤특별대책위원회(이하 감귤특별대책위)’가 출범했다.
감귤특별대책위는 20일 각계 전문가 28명 전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첫 회의를 열어 앞으로 전개될 한.미 FTA협상 등에 대비해 제주감귤산업 보호 등 대응전략을 협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위원들은 급변하는 국내외 농업환경 등 개방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한편 감귤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감귤경쟁력 강화대책 등을 다각적으로 마련하기로 했다.
감귤특별대책위는 특히 한.미 FTA협상과 관련, 제주의 산업구조에서 1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역총생산(GDRP)의 14.7%(전국 평균 3%)로 절대적이라면서 농업인구의 82%가 감귤농업에 종사, 육지부의 쌀처럼 제주에서 감귤은 생명산업이라는 점을 재확인 했다.
감귤특별대책위는 이에 따라 제주에서 차지하는 감귤 산업의 규모가 GDRP의 23%를 차지하는 기간산업인 만큼 한.미 FTA협상에서 감귤을 제외시키켜 줄 것을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는 한편 이같이 도민들의 건의가 수용될 수 있도록 범도민적인 역량을 결집시켜 나가기로 했다.
감귤특별대책위는 이와 함께 WTO출범으로 오렌지 수입 문호가 열리면서 연간 16만t의 외국산 오렌지와 함께 각종 신선 과일이 국내로 반입되면서 감귤농가들이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면서 감귤이 완전한 대외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감귤경쟁력 강화 대책을 적극 모색하기로 했다.
감귤특별대책위는 또 이날 회의에서 앞으로 태스크 포스팀을 구성, 적극적이 대응논리 등을 개발해 나가기로 했다.
제주도관계자는 이와 관련, “이날 출범한 감귤특별대책위는 앞으로 태스크 포스팀이 개발한 각종 감귤경쟁력 대책 등을 효율적으로 집행하는 한편 한.미 FTA협상과정에서 제주감귤 보호를 위한 정부의 역할을 강력하게 주문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