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탈당전력’ 극복이 과제

김태환 제주도지사의 앞날은…

2006-02-18     정흥남 기자
“오늘 아침 일부 언론이 (김 지자가) 무소속으로 출마한다고 했는데 그런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고 말했다.
“도지사 출마를 위해서 탈당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며 정정당당하게 경선에 임할 것임을 분명히 말하겠다”
이는 정확히 20일 전인 지난달 27일 오전 10시께 김태환 제주도지사가 기자실에서 기자들에게 한 말이다.
김 지사는 당시 자신을 무소속 출마 할 수 있다고 보도한 해당 언론사 기자를 나무라면서 자신은 24시간 핸드폰을 켜 놓고 있다면서 다음에 이런 기사를 쓸 때는 본인의 확인과정을 거쳐 달라고 주문하기까지 했다.
“지사가 무소속 상황에서 제주특별자치도특별법이 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면 누가 이를 지지해 주겠느냐”
“당시 거취를 표명하려고 했으나 제주특별자치도특별법 때문에 입장을 늦췄다”
이는 김 지사가 17일 오전 10시께 도청 기자실에서 한 말이다.
한나라당 탈당에 대해 불과 20일 사이에 김 지사가 태도를 완전히 바꿨다.
김지사는 탈당의 변으로 “최근 중앙당의 정치적 상황을 지켜보면서 너무나 자존심이 상했다. 현직 지사이고 특별한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니고, 지지율이 낮은 것도 아니다. 자존심을 살려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가 결국 한나라당과 갈라섰다.
김 지사가 정당에서 탈당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김 지사는 과거 제주시장 선거를 전후해 민주당 당적을 가진 상태에서 탈당을 했던 ‘경력’을 가지고 있다.
누구보다 탈당에 대한 자신의 이 같은 ‘약젼을 갖고 있는 김 지사가 왜 탈당이라는 극한 카드를 꺼냈는지 현재로서는 정확하게 가늠하기가 어렵다.
김 지사는 17일 향후 거취에 대해 “주말 휴일 가까운 사람들과 더 협의를 한 뒤 다음주 초에는 이를 밝히 겠다”고 말했다.
제주도청 주변에서는 이날 김 지사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지사직 불출마라는 이른바 정계은퇴 결정을 접은 것 같다”고 입을 모았다.
실제 이날 김 지사는 지난 15일 정계은퇴를 거론할 때와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였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기자실을 방문한 뒤 막바로 서귀포시를 연두방문, 평상 때와 다름없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16일의 경우 김 지사는 수도권 기업으로 제주에 처음으로 둥지를 튼 ‘다음커뮤니케이션’의 ‘다음 글로벌 미디어 센터’오픈 행사에도 참석을 하지 않은 채 도청에 칩거하면서 구좌지역 주민들을 만났다.
김 지사는 일단 한나라당을 탈당한 뒤 일단 정국상황을 주시할 것으로 보인다.
당장 열린 우리당의 경우 18일 당의장 경선이 실시돼 새로운 당의장 체제로 조직을 사실상 재편한다.
5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국상황이 급변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활로’를 찾을 것이 확실시 된다.
제주특별자치도라는 ‘최대의 업적’을 등에 업고 5.31지사 선거전에 출마, 재선을 노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정당소속 후보들에 비해 절대적으로 불리한 무소속 보다는 정당을 등에 업을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김 지사의 한 측근은 “정치는 살아 움직이는 것 아니냐”면서 열린우리당 입당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김 지사는 열린우리당 가능성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현재로서는 생각해 보지 않았다”고 말했다.
문장 내용만 보기에는 다양한 해석을 낳게 하는 발언이다.
김 지사의 행보에 관심의 쏠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