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육지로 보낸다
제주도-산업부 에너지협의회 개최
2021-04-09 임아라 기자
제주지역 신재생 에너지 생산이 크게 늘면서 지난해만 77회의 출력제어가 발생했다. 정부와 제주도당국은 도내 남아도는 전력을 수소나 열로 전환해 활용하거나 육지로 전송해 출력제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제주도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8일 도청 회의실에서 ‘1차 제주 에너지협의회’를 개최하고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협업사항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 관련 세부 이행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다각도로 최소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전, 전력거래소, 에너지공단, 제주에너지공사 등 다양한 관련 기관이 회의에 참석했다.
재생에너지 설비가 늘고 있는 제주도는 출력 비중이 2015년 9.3%에서 지난해 16.2%로 늘어나면서, 같은 기간 출력제어도 3회(0.04%)에서 77회(3.24%)로 크게 증가했다.
출력제어는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과도할 경우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해 강제로 발전기를 멈춰 세우는 것이다.
도와 산업부는 우선 안정적 운영에 지장이 없는 한도 내에서 필수운전 발전기를 최소화해 재생에너지를 더 많이 수용하기로 했다.
또한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하고 제주도와 육지 간 고압직류송전(HVDC)을 통해 잉여 전력을 ‘역송’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잉여전력을 활용해 수소로 전환하는 ‘P2G 기술’, 열로 전환하는 ‘P2H 기술’, 전기차를 ESS로 활용하는 ‘V2G 기술’ 등을 도에 우선 적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