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교통행정 난맥상

2006-02-17     한경훈 기자

제주시 교통행정이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제주시는 16일 시내버스 신규업체 (주)한라여객의 사업예정자 선정을 취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6월10일 대화여객 노조 파업 이후 시내버스 정상화 노력은 물거품이 됐다.
시내버스 운행이 신학기에 맞춰 정상화된다던 공언(公言)은 말 그대로 공언(空言)으로 끝나 행정의 신뢰도가 땅에 떨어졌음은 물론이다.
이번 사태는 사업자 선정의 잘못에서 비롯됐다. 한라여객을 신규 시내버스업체로 선정 당시 자금조달 능력 등 사업자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하지 않은 것이다.
제주시는 이에 대해 선정 시 관계전문가로부터 자문을 구하는 등 신중을 기했다고 항변하고 있다.
그러나 행정은 결과책임이다. 특히 제주시는 차량 제조사를 방문하는 과정에서 한라여객이 차량도입에 난항을 겪는 것은 제조사 사정 때문이 아니라 자금사정 때문임을 인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 관계자들은 이를 바로 공표하고 대안을 마련했어야 했다. 그러지 않고 ‘쉬쉬’하다가 제주도에게 선수를 뺏기는 수모를 당했다. 도는 제주시의 사업자 취소 이전에 벌써 “한라여객은 안 된다”며 시외버스에 시내노선 운행권을 주는 방향으로 대책을 잡아갔다.

주무기관으로서 자존심 상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뾰족한 방안이 없는 터라 도의 처방을 마다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결국 대화여객 노조 파업 이후 제주시가 보여준 대중교통 정책은 한마디로 ‘실종’그 자체였다는 소리를 들어도 할 말이 없게 됐다.

한   경   훈 (사회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