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구도심권 건축물 고도완화 ‘찬반논쟁’ 불붙어
광역도시계획 워크숍
2006-02-09 정흥남 기자
따라서 광역도시계획 용역을 수립하고 있는 국토연구원과 제주발전연구원이 어떤 결과를 도출해 낼지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제주도는 최근 제주광역권 도시계획 수립을 맡고 있는 제주발전연구원, 도와 시군 관계 공무원과 제주도 및 4개 시.군 도시계획분야 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광역도시계획수립에 따른 3차 워크숍을 개최해 제주시 구도심권 건축물 고도제한 완화 문제를 논의했다.
제주도와 국토연구원은 제주의 관문인 제주국제공항과 제주항을 중심으로 랜드마크 기능을 갖춘 건축물이 들어설 수 있도록 고도를 완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해발 50m 지역에 대해 고도를 지금 보다 대폭 완화하고, 삼도동과 일도동, 중앙로 일대인 경우 재개발사업을 원활히 추진할 수 있도록 건축물 높이를 지금보다 완화하는 의견을 내 놓았다.
또 현재 최고 55m인 노형동 일대인 경우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스카이라인에 변화를 주기 위해 최고의 건축물 높이를 부여할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날 워크숍에서 제주시를 중심으로 한 현지 도시계획 관계자들은 고도가 완화될 경우 제주시 구도심권에 녹지공간 및 주차공간 부족으로 도심기능이 더욱 악화될 우려가 높다고 주장했다.
특히 제주시 관계자들은 제주시 지역의 경우 현재에도 상업지역인 경우 최고 55m까지 지을 수 있도록 허용돼 있으나 대부분의 건축물이 이 보다 훨씬 낮게 들어서고 있다면서 구도심에 고층건물이 들어서 도심기능이 개선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강조했다.
"제주시 관계자 등은 이와 관련, 우선 도심지에 인구가 집중하고 상권이 활성화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고 밝혔다.
제주도는 이날 워크숍을 이들 지역이 고도완화와 병행, 도시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주거지역 건폐율을 60%를 40%로 강화하는 대신 건물 높이를 허용하는 대신 대지내 녹지공간 조성을 강화하는 대안을 제시했다.
제주도관계자는 “이날 워크숍은 용역팀인 제주발전연구원과 실제 현장의 실상을 잘 알고 있는 실무 공무원들간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구체적인 대책은 오는 5~6월 주민공청회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도출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