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 재선충병 '모르쇠'

작년 9월 첫 발견이후 67그루로 늘어…신고로 확인 사례 전무

2006-02-07     한경훈 기자
제주지역에서도 소나무재선충병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재선충병을 조기 차단을 위한 주민 신고체계에 허점이 노출되고 있다.
6일 제주시에 따르면 2004년 9월 오라골프장 인근에서 소나무 15그루가 재선충병에 걸린 것으로 확인된 이래 제주시 남조순오름, 영평동 해송임지, 1100도로 주변 등 제주시내 서부지역으로 중심으로 확산되며 감염목은 67그루로 늘었다.
아직까지는 다른 지역에 비해 감염목 수가 적고, 집단적인 피해도 없으나 ‘섬’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감안하면 소나무재선충병이 지역에서도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정부는 소나무 반출금지구역 설정, 벌채 금지 및 이동 제한조치 등을 골자로 한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특별법’까지 제정하는 등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나 별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산림당국도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을 조기 발견하기 위해 50만원의 포상금을 걸고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나 1년이 훨씬 넘도록 접수된 주민신고는 제주도 194건, 제주시 33건에 불과하며, 신고로 재선충병 감염이 확인된 사례는 전무한 상태다.
특히 지난달 17일 소나무 4그루가 재선충병에 감염된 것으로 판명된 제주시 도평동의 경우 이 병에 감염돼 벌겋게 고사하는 소나무가 민가의 울타리 안에 있는데다 인근에는 사회복지시설까지 있어 주민들이 조금만 관심을 기울였어도 조기 발견이 가능했던 것으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재선충병 심각성에 대한 적극 홍보와 함께 포상금 현실화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제주시 관계자는 “현재 재선충병에 대한 치료약이 없는 상태로 이 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도민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며 “전국 일률적인 포상금제 외에 별도의 포상을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