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자ㆍ우도' 배려돼야

2006-02-03     한애리 기자

“조천에서, 애월에서...이번에는 한경면에 붙으라면, 추자도가 어디 동네북입니까?”
최근 제주도청에서 ‘독립선거구’보장을 요구하면 시위를 벌이던 한 추자 주민은 자신들의 처한 절박한 심정을 이같이 토로했다.
5·31선거를 앞두고 획정된 도의원선거구는 결과적으로 추자주민들에게 또 한번의 좌절을 안겨줬다.
이는 비단 추자만의 문제는 아니다.
그동안 추자·우도 주민들은 독립선거구 획정을 간절히 고대했다. 아니 애원했다.
이들 섬 주민들은 전국 1%인 제주도를 다른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동등하게 대우해 달라며 소리 높이고 있는 제주의 입장을 어떻게 보면 자신들과 ‘동병상련’으로 이해했다.
그래서 자신들의 독립선거구 주장이 ‘잘하면’ 받아들여 질것으로 믿었다..
그러나 결과는 제주도의 1%인 추자·우도가 중앙정부가 제주를 취급하는 것 과 똑같이 취급당하는 상황을 맞았다.
인구의 등가성에 따라 3:1의 기준 원칙으로 남ㆍ북 12개 읍·면중 추자·우도면은 독립선거구를 확보하는데 실패한 것이다.
추자면 도의원 단일선거구획정 추진대책위원회는 면사무소를 봉쇄하고 도서지역 특별보좌관 추자출신 인사 임명, 차기 지방선거 도의원선거구 획정 때에는 도서지역 단독선거구 획정을 약속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에는 선거 보이콧 주장에 이어 어선들을 동원, 제주항을 봉쇄하겠다는 불굴의 의지까지 내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제주도는 도서낙도지역 발전대책을 전담할 특별보좌관을 도지사 직속에 신설하겠다고 밝히고 있으나 다분히 정치적인 성격도 내포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이들 도서지역 주민들의 소외감을 아우를 수 있는 대책이 모색되기를 기대해 본다.

한   애   리 (사회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