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비취업 여성·경력단절 여성 급감
기혼여성은 점점 감소하고 경력단절 여성 30대가 많아
제주지역의 기혼여성이 줄어들면서 비취업 여성과 경력단절 여성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상반기 경력단절여성 현황’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제주지역 15~54세 기혼여성은 11만3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1만5천명보다 -1.5%(2천명) 감소했다.
비취업 여성은 3만4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만1천명에서 10.8%(3천명) 증가했다.
경력단절여성은 1만4천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1만3천명에서 6.7%(1천명) 증가한 것이다.
17개 시도별 경력단절여성 비중은 제주(1천명,6.7%), 전북(2천명,4.6%), 충북(2천명,4.5%)등에서 증가하였다. 경기(-7만3천명), 서울(-6만8천명)등 감소했다.
경력단절 이유로는 육아(42.5%), 결혼(27.5%),임신⦁출산(21.3%), 가족돌봄(4.6%), 자녀교육(4.1%)순서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여성 연령계층을 보면 30~39세로 46.1%(69만5천명) 가장 많다. 다음으로 40~49세가 38.5%(58만명). 50~54세가 8.9%(13만4천명)이며 15~29세 6.4%(9만7천명)을 각각 차지 했다.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대구(22.2%),세종(21.5%)이 높았다. 전북(14.9%)과 제주(12.7%)는 가장 낮았다.
그러나 제주도가 전년도(11.7%) 비교해 1.0% 늘어나면서 경력단절 여성이 많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주가 올 들어 기혼여성이 줄어들고 경력단절이 높은데에는 코로나19 사태도 있지만 집값 부담이나 취업 지연 등으로 결혼을 미루고 임신,출산, 육아 부담으로 직장을 그만둔 것으로 보여진다. 김영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