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절 운송비’ 해소 최대 난제
해외시장 개척 물류체계 개선 대책은?
제주산 농수축산물을 비롯한 공산품 등의 해외시장 진출을 가로막는 가장 큰 제약요소는 얽히고설킨 물류체계 문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풀어 나가느냐 하는 것이다.
이는 해외수출에만 한정되지 않아 근본적으로 공산품 등을 대부분 타지방(육지)에서 해상을 통해 반입하는 제주 전체의 물류문제로 귀결될 수 밖에 없다.
실제 제주도가 집계한 결과 2004년말 기준으로 할 때 제주지역 입.출항 화물량은 모두 975만8000t으로 이 가운데 96.6%인 943만1000t이 항만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그만큼 해상 화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임을 증명해주고 있다.
이 과정에서 타지방에 비해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해상 운송료는 고스란히 지역주민들의 부담으로 또는 지역산업의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제주지역에서 일본으로 가는 수출물량의 경우 20t 컨테이너를 중심으로 했을 경우 현재 제주~부산간 80만원, 부산~일본간 70만원 등으로 수출업체들이 부산을 경유함으로써 이중고를 겪고 있다.
제주~일본 직항로로 물건을 실어 나를 경우 보다 갑절이상 높은 물류비 부담이 소요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모든 방면에서 물류비 부담이 이뤄지면서 우리나라 물류비 부담은 GDP대비 평균 12.7%인 반면 제주지역은 이보다 10%이상 높은 부담을 지고 있는 것으로 제주도는 분석했다.
제주도는 이 같은 물류비 부담을 덜기위해 제주지역을 국가차원의 ‘광역권 물류권’에 포함시켜 줄 것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
이 경우 물류체계 개선을 위한 항만 및 도로망 등 기간시설이 국고로 조성돼 물류비용을 크게 절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수출과 관련, 또다른 과제는 최근 급변하는 환율변동과 국제유가 추세다.
이는 전국 수출업체들의 겪고 있는 공통의 문제로 특히 제주도의 수출목표가 제대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급격한 변동폭을 보이고 있는 해외 환율변동에 대한 기업체들의 대응능력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함께 현재 전체 수출물량 가운데 넙치와 소라 등을 중심으로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1차산업 위주의 수출품목도 다양화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관계자는 이와 관련, “우선 기본적으로 제주지역 전반적인 물류체계 개선을 토대로 ‘지역물류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500t급 화물선을 제주~일본 오사카 항로에 투입시키는 직항로 개설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