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점산지유통센터 감귤선별기 업체 선정 의혹 검찰 수사 결과 '주목'
평화인더스트리, "입찰ㆍ계약과정 불투명" 주장
2006-01-19 김용덕 기자
이보다 앞서 제주감협 역시 일간지 광고와 기자회견을 통해 “감귤선별기 입찰과 계약은 정해진 절차와 방법에 따라 투명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어 이에 대한 검찰의 수사결과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 문제는 지난해말 제주경실련에서 문제를 제기한 것을 시작으로 평화측에서 제주감협의 입찰제안에 위배된 업체가 실격처리돼야 함에도 불구, 낙찰된데 따른 의혹을 제기하면서 사건은 오는 2월 11일 있을 조합장 선거에 까지 영향을 미칠 정도로 일파만파 치닫고 있다. 평화는 특히 최근 제주지법에 계약이행금지가처분신청을 냈다.
평화는 19일 일간지 광고를 통해 “감협이 마치 평화가 입찰에 떨어졌기 때문에 핑계를 대고 떼를 쓰는 것 같이 광고를 하고 있지만 의혹여부는 법정에서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라면서 “투명한 입찰과 계약과정이 이뤄졌는가를 따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한 것”이라고 밝혔다.
평화는 낙찰업체의 제안서 내용이 감협에서 제시한 일괄입찰공고의 제안서 내용과 현저히 부실,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13개 항목중 2개 항목이상 평가가 곤란한 경우) 공개 발표일 이전에 실격처리해야 하는데도 감협이 이를 묵인, 평가설명회에 참가한 자문위원들로부터 평가받게 한 자체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평화는 특히 제주도 생명산업인 감귤산업을 최일선에서 선도하고 감귤의 품질향상과 농가소득증대에 앞장서서 이끌어 가야한 감협이 막대한 국고예산으로 WTO에 대응한 APC사업에 사과선별기를 가지고 어떻게 감귤선별기로 둔갑해 포장하려 하는지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평화는 또 “똑같은 감귤기준으로 만든 당산도 센서를 가지고도 감귤의 산지, 기후 등의 조건으로 오차의 한계를 잡기가 매우 어려워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것인데 하물며 사과선별기계 시스템에다가 당산도 비파괴센서까지 사과특성으로 만든 것을 제주감귤에 적용시킨다 함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평화는 이 밖에 낙찰업체선정의혹으로 △콘테이너 자동화공정에 따른 제습시설 계획수립에 대한 낙찰업체의 제안서에 기술적 설명이 전혀 없다는 점 △입찰가격 평가에서 예정가를 15억7800만원 초과한 금액으로 책정, 감협의 제안내용을 위배했다는 점 △자문위원들이 감협이 제시한 제안내용 준수여부도 모른채 30분 설명과 15분 질의응답으로 정당한 평가가 이뤄질 수 있겠는냐는 점 등을 들었다.
한편 검찰은 감귤선별기 업체선정의혹에 따른 내사에 착수, 평화 및 감협관계자, 당시 자문위원들을 상대로 입찰계약 및 업체선정과정에서의 의혹여부를 조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