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집중 완화…지역균형 발전도모 4대 ‘大생활권제’ 도입

국토연구원, 광역도시계획 연구용역서 제시

2005-12-23     정흥남 기자
제주시 중심지 인구 및 산업집중과 인구 과밀현상을 해소, 지역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제주 전역을 4개의 큰 구역으로 나눠 도시발전계획을 세우는 이른바 4대 ‘대생활권제’가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광역도시계획수립연구 용역을 시행하고 있는 국토연구원은 최근 ‘제주광역도시계획 수립에 따른 생활권 계획안’을 마련, 최근 제주도와 4개 시.군 도시계획 관계공무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워크숍을 열어 이같은 내용의 의견을 교환했다.
국토연구원은 제주시 지역의 경우 최근 6년간 2만5000명이 증가하면서 제주도 전체인구의 53%를 차지하는 것을 비롯해 제주시와 북제주군 등 이른바 산북지역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 제주도 전체인구의 71%를 차지, 집중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토연구원은 따라서 제주시로의 인구.산업 집중 및 가속화로 농촌지역이 존립기반에 위협 받고 있음에 따라 일정한 생활 권역별로 경쟁력 강화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발전기반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토연구원은 이를 위해서는 도시기능 분담 및 연계를 강화하는 한편 생활권별 주민편익시설을 적정하게 배치하는 4대 ‘대생활권’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국토연구원은 4대 생활권을 기본으로 ‘중생활권’과 ‘소생활권’을 연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국토연구원은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중심으로 한 2개의 대생활권과 제주 동.서부를 중심으로 한 2개의 대생활권 제시했다.
국토연구원은 이처럼 4대 생활권과 16곳의 중생활권 및 107곳의 소생활권을 지역별로 연계, ‘제주시의 외형 확산을 방지하고 서귀포시와 군지역의 자립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비롯해 모두 3개의 대안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