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구조개편 기필코 저지"
강상주 서귀포시장, 시의회 질의 답변
강상주 서귀포시장은 행정체제개편으로 인한 도민갈등의 책임은 이를 무리하게 추진한 행정자치부와 제주도에 있다고 책임소재를 미루는 한편 서귀포시 구상권 퇴조 우려에 대해서는 신규 대형 마트 유치를 추진하는 대신 기반시설 확충을 대안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또한 서귀포 미항개발 사업은 문화재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정도인지를 먼저 파악한 후 보완계획을 마련하는 방법으로 지속적인 추진을 도모하겠다고 다짐했다.
13일 오전 10시 개최된 제130회 서귀포시의회 제2차 정례회에서 쏟아진 의원들의 27개 분야 질의사항에 대해 오후 답변에 나선 강시장은 특별자치도를 비롯해 경제살리기, 관광 진흥, 1차산업 대책 등을 중심으로 한 시의원들의 추궁에 일일히 시정 방침을 제시했다.
강시장은 “도내 시장ㆍ군수들의 기본입장은 4개 시ㆍ군 폐지를 내용으로 하는 행정계층 구조개편은 어떠한 일이 있어도 저지하겠다는 입장”이라며 “제주도가 행자부와 담합, 주민투표를 강행하면서부터 지역갈등이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내년 삼성홈플러스 및 이마트 개점시 구 도심권 상가 95%가 갈 곳을 잃게 된다는 지적과 관련 강시장은 “전국 중ㆍ소 도시에 이마트, 홈풀러스 등 대형매장 입점은 보편적 현상”이라고 전제 한 후 “구 상권의 자생력을 키워주기 위해 어느 지역보다 앞서 기반시설 확충을 서두르고 있다”며 “예를 들어 서귀. 중문 오일시장에 80억원을 투자했다”고 소개했다.
강 시장은 이어 “경비행장 건설과 함께 1000만 관광객 시대에 대비, 동북아 거점 항구 기능을 갖춘 관광미항개발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국가, 지자체, 개발센터와 역할 분담을 통한 선도프로젝트 사업을 계속 추진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밖에 강 시장은 서귀포시를 친환경농업 시범시로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 “친환경 농업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검증 관리되는 상태”라며 “시민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절차를 이행 한 후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확답을 미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