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 처리난 때마다 행정 ‘단골개입’

농민들 시장 경쟁력 저해

2005-12-12     정흥남 기자

올해 산 감자에 이어 당근까지 유통.처리난에 부딪히면서 행정이 전면에 나서는 관행이 재연되고 있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해당 작물 재배농가들의 목소리가 그 어느 때보다 커지면서 지방자치단체 역시 이 같은 ‘농심’을 거스르지 못한 채 문제해결에 마지못해 나서고 있는 것이다.

제주도와 남ㆍ북제군 및 생산자 단체인 농협은 최근 제주도에서 ‘2005년산 당근 제값받기를 위한 북한보내기 및 산지폐기 지원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회의에서 제주도 등은 올해 제주지역에서 9만5000t 안팎의 당근이 생산될 것으로 보고 이 같은 생산량 가운데 3만여t을 산지폐기와 북한보내기 사업 등으로 처리키로 했다.

올해 제주지역 생산량 가운데 30%를 ‘시장에서 격리’시키기로 한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 제주도와 시.군은 이에 따른 전체 사업비 40억2500만원 가운데 80%인 32억2000만원이라는 거액의 예산을 투입키로 했다.
생산자 단체인 농협 등은 8억500만원을 투입한다.

제주도와 시ㆍ군은 이와 함께 12일 오전 10시 이번에는 제주도청에서 감자처리대책 회의를 개최키로 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감자소비촉진 운동사업과 함께 가공용 감자 수매물량 확대 문제가 집중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결국 도민들이 낸 세금 가운데 상당액이 당근 처리에 이어 이번에는 가공용 감자 수매에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는 이 뿐만 아니라 최근 처리난을 맞고 있는 브로콜리에 대해서도 가격이 떨어질 경우 개입을 검토하고 있다.
행정이 농작물 유통파동 때 마다 사사건건 개입하면서 농가의 시장 자율경쟁력이 떨어지고 관 의존 경향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특히 감자와 당근 등을 수만 평 단위로 재배하는 일부 ‘투기형 기업농’과 대규모 밭떼기 중간상들은 이 과정에서 고스란히 실속을 챙기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