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활성화 기대에 '찬물'

서귀포 관광미항 백지화가 남긴 것

2005-11-26     정흥남 기자

서귀포 관광미항 개발사업의 백지화는 그동안 도민들에게 장밋빛 청사진으로 제시됐던 이른바 국제자유도시 7대 선도프로젝트에 대한 불신을 한꺼번에 안겨줬다.
특히 이 사업의 백지화는 가뜩이나 침체된 서귀포 시민들의 경제 활성화 기대에도 찬물을 끼얹었다.

이 과정에서 제주도와 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사이에 ‘미묘한’신경전이 재연되면서 결국 이 문제 역시 내년 지방선거에서 뜨거운 선거쟁점으로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사건의 발단은 2001년 11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국무총리실 제주국제자유도시추진단은 제주국제자유도시에 대한 각종 개발전략을 수립했다.

국제자유도시추진기획단은 당시 △ 외국인 출입국 관리제도 개선 △투자진흥지구 도입 등 국제화를 위한 제도개선과 투자환경 조성 △7대 선도프로젝트 추진 등의 개발계획을 마련했다.
서귀포 관광미항 개발사업은 2001년 11월 국제자유도시기본계획상의 선도사업으로 확정됐으며 총리실은 이듬해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에 의뢰, 서귀포관광미항개발사업의 타당성 조사와 함께 미항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이어 2003년부터 해양수산부와 관광미항개발에 항만계획 변경등의 과정을 거쳤다.
이후 지난달 5일과 이달 2일 잇따라 중앙문화재 위원회가 미항개발에 따른 현상변경을 불허하자 지난 11일 건교부와 제주도 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서귀포시 실무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대책회의를 개최했다.
당시 실무자급 회의에서 제주도와 서귀포시는 ‘추진불가는 안 된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자유도시개발센터는 이날 회의에서 서귀포관광미항 개발사업이 어렵다는데 의견을 갖이 하고 후속프로젝트로 추진중인 ‘웰빙테마타운’ 사업을 대체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제주도관계자는 “11일 당시 회의는 과장 및 담당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순수한 실무회의 였다”면서 “최소한 이 사업 백지화가 결정되기 위해서는 관련 기관 간 책임자급 관계자들이 협의를 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주도는 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의 입장과 달리 서귀포관광미항개발사업 등을 비롯해 국제자유도시 7대 선도프로젝트를 전반적으로 재검토 하는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보완용역을 제주발전연구원에 의뢰, 내년 2월 최종 용역결과를 제출받을 예정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7대 선도프로젝트의 입안권자는 도지사이고 최종 결정은 국무총리실 추진위원회에서 맏게될 것”이라면서 “7대 선도프로젝트 후속 프로젝트인 이른바 ‘웰빙테마타운’의 서귀포지역 유치도 현재로서는 확정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제주도와 개발센터가 서귀포관광미항개발사업을 둘러쌓고 갈등을 보이면서 ‘웰빙테마타운 사업’역시 현재로서는 서귀포시 지역에 장담할 수 없는 형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