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 항공도 요금 인상
"지역항공사 설립 서둘러야" 도민여론
지역항공사 설립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는 대한항공에 이어 아시아나항공도 항공요금 인상 방침을 세운데 따른 것이다. 양 항공사는 툭하면 운송원가 상승 등의 요인으로 항공요금을 인상, 사실상 제주도민들의 대중교통수단인 항공기 이용에 따른 뭍나들이 부담을 증가시킴은 물론 국내외관광객 유치에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11일 건설교통부 항공정책심의관실에서 건교부 김광재 항공정책심의관, 유두석 항공정책과장, 고용삼 제주도 관광문화국장, 대한항공 이장윤 상무, 조규영 아시아나항공 영업부사장 등이 모여 '국내선 운임제도 개선 및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아시아나항공은 운송원가 상승 압박으로 인상 방침을 밝혔다.
대한항공이 7월 16일부터 주말 8%, 성수기 13% 인상 시행에 이어 아시아나항공도 인상방침을 밝힘으로써 요금 담합의혹까지 사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건교부는 △항공은 대중교통수단이 아님→운임은 시장 자율기능에 따라 조정 △정부의 규제는 항공사 운영수지 악화→노선폐지, 운항편수 감축 등을 초래 △부가세 감면은 재경부와 협의→형평성 문제로 부정적 입장 이라는 내용을 밝혀 제주도의 인상억제 요청에 난색을 표명했다.
대한항공은 △유가인상으로 450억원 적자발생→국내선 항공요금체계가 고비용 저운임체계료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으로 일관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운송원가 상승 압박으로 인상시기와 인상율을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인상방침을 고수했다.
제주도는 이에 맞서 △지역경제가 매우 어려운 시기인 점을 감안, 인상철회 또는 인상시기 조정과 함께 △투명한 운항수지 공개로 도민의 이해를 구할 것과, 사전 협의 필요성을 제기함은 물론 △경제적 논리를 떠나 항공기가 제주도민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대중교통 수단인 점을 거듭 강조했다.
회의결과 건교부는 항공요금 인가제 또는 신고제 전환은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에 배치되지만 지속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사실상 부정적 입장을 견지했다.
특히 대한항공 실무자는 "지난 7일 김태환 지사와 4개 시군단체장, 도의원 등의 방문때 항공요금 인상시기 및 인상률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의견을 피력했으나, 기존 발표내용 번복이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를 밝혀 사실상 항공요금 인상 철회는 불가하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김태환 제주지사는 이에 따라 오늘(14일) 다시 상경, 조양호 대한항공 회장과 아시아나항공 회장을 방문하고 요금 인상을 자제해 줄 것을 요청할 방침이다.
한편 제주-서울간 편도성 항공요금의 경우 91년 4만300원에서 2001년 7만9000원, 2003년 8만600원으로 인상되는 등 향 항공사가 매년 평균 17%의 인상을 시도, 도민들의 뭍나들이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는 물가상승율 5.7%의 3배를 넘어서는 사실상의 폭리수준이라는게 시민사회단체의 지적이다.
이에 따라 도민사회에서는 이를 계기로 제주도와 도의회가 예산을 빨리 확보, 2006년 운항을 목표로한 지역항공사 설립을 보다 앞당겨야 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