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소포요금 인상
대한항공의 항공료 인상에 대해 도민 정서가 들끓고 있는 가운데 공적기관인 우정사업본부마저 제주지역 소포요금을 무리하게 올릴 계획으로 있어 도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11일 제주체신청에 따르면 우정사업본부가 7월1일부터 소포요금을 인상하면서 제주지역 요금을 새로 신설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는 제주지역으로 보내거나 제주에서 보내는 소포 요금을 ‘타지역’으로 분류, 전국 단일요금을 적용했으나 7월부터는 제주지역과 타 지방 소포요금이 다르게 적용된다.
우정사업본부의 요금 인상안을 보면 무게별로 국내 보통소포 요금은 500~700원, 빠른소포 요금 200~400원, 택배요금이 1000원씩 오르는 반면 제주지역은 보통소포가 1000~1500원, 빠른소포 1700~2200원, 택배요금이 2000~3000원씩 인상된다.
이처럼 제주지역 소포 요금 인상 폭이 큰 것은 그간 제주지역은 항공료 등 다른 지방에 비해 비용이 많이 소요돼 손실이 많았던 만큼 이를 현실화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우정사업본부가 주장하는 바에 의하면 제주지역 원가보상율은 60%(손실 40%) 안팎으로 타 지방 93.4%에 비해 30% 이상 차이가 난다.
그런데 우정사업본부는 이번 요금 인상으로 제주지역을 포함한 전국 원가보상율을 98.2%까지 끌어올릴 수 있게 된다.
다른 지역에서는 5% 정도 손실 개선한데 반해 제주지역에서는 무려 38%를 개선한 셈이다.
이에 대해 도민들은 제주지역에서 그간 우정업무 손실 폭이 컸던 것은 수긍하면서도 ‘부담을 적게 주도록 단계적 인상이 바람직함에도 손실 개선을 빌미로 한꺼번에 올리는 처사’는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 도민은 “항공료 인상으로 뭍 나들이에 부담이 큰 판에 짐 하나 붙이는데도 여간 고민이 아닐 수 없게 됐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제주체신청 관계자 이에 대해 “이번 소포요금 인상은 본부에서 정부승인을 얻어 결정한 것”이라면서도 “하필 항공료 인상으로 도민사회가 뒤숭숭한 판에 대폭 인상케 돼 곤혹스럽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