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 관광미항 개발사업 '파행', 道-개발센터 ‘발뺌’
최근 대책회의… “더이상 어려울 것 같다” 결론만
속보=중앙문화재위원회의 ‘사실상 불가 통보’로 불거진 서귀포 관광미항 개발사업이 흐지부지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2001년 이후 이 사업을 공동으로 주도했던 제주도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는 개발사업이 무산될 경우 자신들에게 불어 닥칠 해당지역 주민들의 반발 등을 우려, 벌써 ‘발빼기’ 현상을 보이고 있다.
자칫 이 문제가 내년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고 판단,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는 것이다.
제주도와 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및 서귀포시는 최근 중앙문화재 위원회가 항만개발에 따른 현상변경 승인을 불허, 서귀포 관광미항개발사업이 난관에 부딪히자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이 문제를 협의했다.
이 자리에서 제주도와 개발센터 및 서귀포시는 중앙 문화재 위원회의 지적과 문화재 위원회 분위기 및 서귀포항을 감싸고 있는 각종 천연기념물 등 현실적인 여건을 모두 종합할 경우 문화재청에 현상변경 신청을 더 이상 낸다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 같은 회의결과는 결국 서귀포항 개발사업을 포기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제주도와 개발센터는 이처럼 각 기관이 도출된 의견에 대해서도 쉬쉬하고 있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에 따른 선도프로젝트 가운데 사실상 공공기반시설 차원의 사업인 서귀포미항 개발사업의 백지화가 몰고 올 파장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서귀포항을 관광미항으로 개발하는 국가개발사업이 기본적인 타당성 및 현장조사 등의 과정조차 제대로 거치지 않은 채 책상에서 수립돼 백지화되는 기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특히 서귀포 관광미항개발사업 등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 계획의 시작은 2001년 건설교통부와 총리실내 제주국제자유도시추진기획단에 의해 시작돼 사업파행이 몰고 올 파장은 단순히 서귀포미항개발사업 문제에 국한하지 않고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사업 전반으로 확산될 우려를 낳고 있다.
한편 이와 관련, 제주도와 서귀포시 관계자는 “최근 3개 기관이 모여 대책을 협의한 것은 사실이지만 뚜렷한 타개책은 마련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반면 자유도시개발센터는 서귀포 관광미항 개발사업 파행에 대해 지극히 소극적인 입장을 유지하면서 구체적인 언급을 회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