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1800억 지원 스마트팜’ 탈락
道 “하반기 공모 선정 노력”
농민단체 “즉각 철회” 주장
제주도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가 스마트팜 혁신밸리 상반기 공모에서 탈락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일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 공모 결과 경상북도와 전라북도가 선정됐다고 밝혔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연말까지 전국 시도를 대상으로 4곳을 선정하게 되는데, 한 곳당 4년 동안 총 1800억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주요 시설은 이론부터 경영실습까지 특화교육을 제공하는 청년교육시설, 임대형 스마트단지와 스마트 APC 등 생산·유통 물류시스템 스마트팜 단지, 실증연구와 신품목 발굴 기능이 융복합된 스마트팜 실증단지 등이다.
농식품부는 상반기 2곳, 하반기 2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상반기에는 전국 8개 시도가 경합을 벌였다. 제주주도는 JDC, 제주대학교, 제주테크노파크, 제주연구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주지역본부, 한국농어촌공사 제주지역본부, 농업인단체협의회, 생산자단체 등과 제주형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 추진단을 꾸려 공모사업 유치에 뛰어들었다.
제주형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예정지역은 제주시 회천동 쓰레기매립장 인근 도유지 69.6ha(20만7000평), JDC 112.4ha(33만6000평) 등 182ha(54만3000평)에 이른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1단계 사업이 추진될 경우 제주지역 내 생산유발 효과는 약 1900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약 64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단계 사업으로 JDC의 첨단 농식품단지까지 연계해 조성되면 약 37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 약 1280억원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기대되는 사업이다.
하지만 농민단체들은 이 사업이 농업판 4대강 사업이 될 수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날 오전 전국농민회총연맹 제주도연맹(의장 송인섭)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제주도연합(회장 강순희) 등은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스마트팜 혁신밸리 철회 및 JDC 농업분야 진출 저지를 위한 전면 투쟁을 선포했다.
이들은 “제주도가 추진하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은 대기업 농업 진출의 우회도로이자 급조된 졸속사업으로써 이는 제주 농산물과의 경쟁과 과잉에 따른 가격하락 등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원희룡 도정이 농업판 4대강 사업을 밀어붙이기식으로 추진하는 데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규탄했다.
그러면서 “이 사업은 제주농업 발전과 농민의 삶의 질 향상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대기업의 농업 진출과 JDC 돈벌이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며 “제주도와 JDC는 사업계획을 공개적으로 밝히고 추진을 중단하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