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기지 갈등 속 국제관함식 추진 논란

범대위 “해군 유치 확정 발표만 앞둬” 중단 촉구
해군 “확정된 게 아니…10억원 상당의 경제효과”

2018-07-10     김진규 기자

강정마을 주민 등이 반발하고 있는 ‘2018 국제관함식(觀艦式)’ 제주 유치 여부에 촉각이 모이고 있다. 

국제관함식은 10년마다 열리는 행사로, 그동안 부산에서 개최돼 왔으나 올해는 제주에서 개최하는 것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지난 3월 마을 임시총회를 통해 ‘반대’를 결의한 상태다.

제주 군사기지 저지와 평화의 섬 실현을 위한 범도민 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는 10일 성명을 내고 “해군이 강정마을의 반대 입장에도 불구하고 제주해군기지에서의 국제관함식 개최를 강행하고 있어 논란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내용을 종합해 보면 해군은 제주해군기지로의 유치를 확정했고, 발표만을 앞두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해군 측은 의견을 물었을 뿐이라며 당초의 입장을 바꿨고, 반대하는 마을주민들을 회유하며 사실상 유치를 강행하고 있다. 강정마을의 공동체회복사업을 통해 갈등을 치유하는 시도가 겨우 시작된 상황에 해군의 이와 같은 갈등조장에 분노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군은 당초 약속대로 국제관함식 제주해군기지 개최를 철회해야 한다. 만약 강행한다면 세계 각국의 인사들이 참여한 자리에서 해군기지 반대의 격렬한 외침을 들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해군측은 국제관함식 제주 유치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인하지 않았지만,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해군 제7기동전단을 지휘하고 있는 최성목 단장(준장)은 10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제주에서 유치할 가능성도 있지만 확정된 것은 아니”라며 “그러나 제주에 유치될 경우 10억원 상당 지역 경제에 파급 효과를 올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 준장은 “제주해군기지 건설로 주민들의 상처와 갈등의 골이 가시지 않는 것은 잘 알고 있다. 유치 여부를 떠나 민과 군이 상생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11일 오전 범대위 등이 제주해군기지 국제 관함식 유치 철회 촉구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어서 이에 따른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