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방학엔 병설 급식, 잘 돌아갈까?
교육청 지원단 표준식단 공유로 직영체제 강화
조리사 도움 필요시 지원 주체는 분쟁요소 남아
학교 별로 상식적인 업무 분장 기준 마련도 필요
초등학교 방학이 다가오면서 병설유치원 급식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교육지원청과 영양(교)사를 중심으로 ‘급식지원단’이 구성돼 학교에 표준 식단을 제공하고 있지만, 품의 결재 과정 등에 도움을 줄 주체가 여전히 모호하다. 학교별로 설득력 있는 자체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초등 방학 중 병설 급식 문제는 매년 반복돼 왔다. 음식은 조리사가 하지만, 그 외 업무를 놓고 영양(교)사와 유치원 교사 간 괴리감이 컸다.
2014년 7월 조리사가 상시근로자 지위로 전환되면서 방학 중 유치원 직영 급식 체제는 일단 완성이 됐지만, 품의결재 등 조리사가 처리하기 힘든 업무에 대해 영양(교)사와 유치원 교사 간 공방이 계속됐다.
이에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지난해 지원청 별로 급식 지원단을 꾸려 표준 레시피 공유 체제를 만들면서 식단 구성과 재료 주문량 산출 등의 업무는 조리사들이 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조리사들이 재료 주문에 필요한 온라인 프로그램 사용에 서툴어 영양(교)사와 유치원 교사 간 분쟁의 범위는 남게 됐다.
지난해 도교육청이 지원단 구성에 앞서 영양(교)사와 유치원교사, 조리사의 업무를 명확히 구분하려 했으나 영양(교)사들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영양(교)사들은 학교급식법의 ‘수업일 점심시간에 주식과 부식을 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규정과, 학교 관리직과 달리 겸임 수당이 없는 등의 문제를 들어 방학 중 근로에 적극성을 띠기 힘들다는 입장을 강하게 피력했다.
이번 여름은 공유 레시피가 완성된 뒤 두 번째 맞는 방학이다. 학교 구성원들이 얼굴을 붉히며 급식 업무를 떠맡는 일이 없도록 일선학교장들의 관심과 개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아울러 방학 중 병설 급식 갈등이 전국적인 사안인 만큼 시도교육감협의회를 중심으로 병설유치원 급식에 관련된 조항을 삽입하는 법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