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명선원 유치원건물 철거 놓고 갈등

불교연합회 “불교탄압”...市 “재해위험지구 공사 시급”

2018-06-11     한경훈 기자

제주시 화북동 소재 ‘원명선원’ 자연재해 위험개선지구 사업과 관련한 유치원 건물 철거를 놓고 불교계가 불교 탄압이라고 주장하는 가운데 제주시는 “사실이 아니”라며 조속한 사업 추진 의지를 밝혔다.

11일 제주시에 따르면 2007년 9월 태풍 ‘나리’ 내습 때 원명사 법당, 유치원 및 관리사 등에 침수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2008년 2월 원명선원 일원 31만㎡가 침수위험 지구 ‘다’ 등급의 자연재해 위험개선지구로 지정됐다.

이후 제주시는 원명선원 측이 요구한 원명유치원 토지 및 건물(2필지 4573㎡) 매입요구을 받아들여 2014년 3월에 보상비 20여억원을 지급하고 같은 해 10월부터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사업 시행을 위한 건물철거(7동) 및 부지정리 등의 정비공사를 시작했다.

그러나 향토문화유산지정 추진, 원명사 신축 등의 이유를 들어 원명선원 측이 사무실 등에 대한 이전 요구에 불응하면서 공사 진척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2017년 10월까지 총 9차에 걸쳐 이전 촉구를 했으나 이행하지 않았고, 올해 들어서는 6월 15일까지 이전을 촉구하는 4차 계고가 진행 중에 있다고 제주시는 설명했다.

제주시 관계자는 “그 동안 원명선원 측의 공사연기 요구를 충분히 수용했고, 태풍 등을 대비해 원명선원 일대에 대한 자연재해 위험지구 개선사업도 시급한 상황”이라며 “제주불교연합회가 주장하는 ‘불교탄압 중단, 제주불교문화유산 철거’와는 무관하므로 앞으로 행정절차 이행을 통해 조속히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불교연합회(회장 관효)는 11일 성명서를 통해 “근대 제주 불교 건축문화 유산인 원명선원 유치원 건물이 철거 위기에 놓여 있다”며 “이는 불교문화재를 훼손시켜 제주불교의 정통성과 근거를 지원버리겠다는 속셈”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