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필요성엔 공감…구체적 해법은 ‘제각각’
도지사 후보 “핫 이슈 체크”
<6>축산악취 문제
지난해 한림읍 상명석산 축산분뇨 무단 배출사태 이후 가축분뇨에 의한 지하수 오염이 사실로 드러나면서 도민사회의 공분을 사고 있다. 여기에 수십 년간 이어진 양돈장 악취문제는 여전히 제주지역 최대 현안으로 자리잡고 있다. 6·13 지방선거에 출마한 도지사 후보들 역시 악취 문제 해결에는 공감하면서도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해선 각각 다른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후보는 가축분뇨 집중 처리시설 확충을 통해 악취 저감 정책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문 후보는 “제주지역 하루 양돈분뇨 발생량은 2880여t”이라며 “이중 공공처리시설을 통해 처리되는 양은 14%(약 400t)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공동자원화시설 등 가축분뇨 집중 처리시설의 확대 증설을 통해 악취가 저감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축산폐수 자원화를 위한 대책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자유한국당 김방훈 후보는 새로운 기법의 가축분뇨 재처리시설 도입을 주장했다.
김 후보는 “”막대한 양의 축산분뇨는 처리할 길이 막막하다고 양돈농가의 불만의 목소리가 크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시스템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진단했다.
이어 “수거 처리되는 액비는 이미 살포 지역을 찾지 못하는 지경에 왔는데도 도의 정책은 액비처리시설을 늘리겠다는 정책은 악취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 방법은 아니”라며 “현재 개발돼 일부의 지역에서 효과를 보고 있는 ‘콤포스트시스템’과 탄화설비를 이용한 재처리시설 등이 제주도에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녹색당 고은영 후보는 무단 방류 ‘원 아웃제’ 도입을 통한 제주축산업계의 체질 개선을 약속했다.
고 후보는 “제주 축산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제주의 청정 이미지에 맞는 축산물 생산 정책을 펴나가야 한다”며 “(만약 당선이 된다면)임기 내 기존농장의 동물복지농장 50% 전환과 지원을 강화하고 액비 살포 중지및 첨단 분뇨처리 시스템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분뇨 무단방류 원아웃제를 도입, 현재보다 더 강력한 악취관리지역 기준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무소속 원희룡 후보는 객관적인 검사시스템을 도입, 농가의 불만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원 후보는 “양돈장 폐수 문제의 경우, 일벌백계 단속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며 “현재는 수사 결과에 따라 한 번에 양돈장을 폐쇄하는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단속을 넘어 축산분뇨 공공처리시설을 2020년까지 모두 갖추고, 수익자부담 원칙을 적용해 기반시설을 갖추도록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농가 스스로 악취저감시설 등의 자구책을 마련하도록 유도하고 위배 시 행정지원 배제 등 제도적 제재 방안을 적극 마련하겠다”며 “더불어 농가에서 정확도를 불신하고 있는 ‘복합악취’ 측정법을 ‘환경부 지정 22종 악취물질’ 분석법으로 전환해 농가의 불만요소를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