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의 새로운 과제는 美 책임 규명”

제주언론학회 제주4·3 70주년 기념 정기학술세미나

2018-04-12     문정임 기자

정용복 박사 “제주4·3정신 실체 비롯
전국화 이유 등 명료한 보도 노력 필요”

4·3 70주년 이후, 언론의 새로운 과제는 ‘미국의 책임 규명’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아울러 4·3과 관련한 보도 시, 깊이 있는 분석을 바탕으로 실체를 명료하게 기술하고, 지역 내 논의를 확장시키는 ‘공론장’으로서의 역할에도 충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2일 ㈔제주언론학회(회장 양원홍)가 설문대여성문화센터에서 개최한 제주4·3 70주년 기념 정기학술세미나 ‘언론을 통해 본 제주4·3과 광주5·18’에서 고영철 제주대 교수와 정용복 한양대 언론학 박사는 각각의 발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정용복 박사는 ‘제주4·3에 관한 신문보도 프레임 연구’ 발표에서 제주4·3특별법이 제정된 1999년 7월 이후 2017년까지 보도된 5개 신문(도내 일간 3곳, 중앙 일간 2곳)의 4·3 기사 977건의 보도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4·3사건이 표피적으로 다뤄졌음을 나타내는 스트레이트 기사가 663건으로 기획·해설기사 124건보다 월등히 많았다”면서 “4·3 70주년 이후의 언론은 깊이 있는 취재와 보도로 아직 밝혀지지 않은 4·3의 진상을 규명하고 재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박사는 “2013년 4·3위원회의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와 2017년 제주4·3평화재단의 ‘화해보고서’ 발간으로 4·3과 관련한 역사적 사실들이 많이 기록되고 밝혀졌지만, 여전히 당시 학살의 주체와 미국의 역할 등 해소되지 않은 사실들이 존재하고 있다”면서 “언론이 스스로 4·3연구가를 육성하는 등 긴 호흡으로 이 문제를 규명해야 나가야 한다”고 피력했다.

4·3 보도 시, 언론이 보다 명확하게 관련 문제를 기술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고영철 제주대 교수는 ‘한국신문에 투영된 제주4·3’ 발제에서 “지금 4·3의 전국화와 세계화가 새로운 과제로 비춰지고 있는데, 4·3이 왜 전국화, 세계화 돼야 하는 가에 대해서는 아무도 설명하지 않고 있다”며 “언론이 이 부분을 명확히 짚어내야 도민들이 해당 명제에 동의하고 지지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정용복 박사 역시 “‘4·3의 정신을 계승하자’는 보도를 자주 볼 수 있는데, 무엇이 4·3의 정신인지 실체가 분명하지 않다”면서 “언론은 4·3정명에 앞서 제주4·3의 정신을 명확히 끄집어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는 이문교 전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과 고호성 제주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각 세션의 사회를 맡은 가운데 고영철(제주대)·김은규(우석대) 교수와 정용복 박사가 발제하고, 김동만 제주한라대 교수, 김광우 성균관대 언론학 박사, 강재병 제주도기자협회장, 최낙진 제주대 교수, 허영선 제주4·3연구소 소장, 조진태 5·18기념재단 상임이사가 토론자로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