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의 성지’에 울려 퍼진 ‘제주 4·3’

7일 제주4·3 제70주년 광화문 범국민문화제
전국 정계·교육계 인사들 4·3추모 행렬 동참

2018-04-08     박민호 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이끌어낸 촛불 혁명의 성지인 광화문광장에서 70년 한 맺힌 4․3의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제주4․3범국민위원회는 지난 7일 오후 서울 광화물 광장에서 제주4․3 제70주년 광화문 범국민문화제를 개최했다.

‘4․3에서 촛불로, 촛불에서 4․3으로’를 주제로 진행된 이날 문화제는 촉불혁명의 상징적 장소인 광화문 광장에서 4․3의 의미를 촛불에 담고, 4․3의 진실을 문화적으로 공감하면서 그 역사적 의미를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장인 광화문 광장에는 4․3 희생자 3만여명을 추모하기 위한 분향소가 설치됐고, 동백꽃 만들기를 비롯한 모두 60여개의 체험 부스에서는 4․3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이날 오후 6시30분부터 ‘70년, 끝나지 않는 노래’를 주제로 시작된 국민문화제에는 원희룡 제주도지사와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이석문 제주도교육감,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 등 다양한 인사들이 참석, 4․3을 추모하는데 동참했다.

이날 원희룡 지사는 “이제 더 이상 이념 때문에 편을 갈라놓고 서로를 죽이는 일은 없어야 한다”면서 “오늘 이 자리를 계기로 진정한 평화와 상생의 세상을 만들어가자는 다짐을 해본다”고 말했다.

추미애 대표는 “제주4․3이 이 곳 광화문 광장에 오기까지 무려 70년이 걸렸다”면서 “20대 국회에서 반드시 여야 모두 힘을 합쳐 4․3특별법 개정을 통해 개별 명예회복을 할 수 있는 길을 열겠다”고 약속했다.

제주출신 ‘사우스카니발’의 공연으로 시작된 국민문화제는 4․3 프로젝트 밴드의 공연과 4․3의 아픔을 마임으로 표현한 ‘일어나요, 할망’에 이어 민중가수 최상돈의 4․3평화합창단과 함께 부른 ‘애기 동백꽃의 노래’와 ‘잠들지 않는 남도’ 등이 무대에서 울려퍼졌다.

또 극단 ‘경험과 상상’은 4․3의 도화선이 된 3․1절 기념대회가 열린 제주시 관덕정 광장을 재현해냈고, 2부 순서는 안치환과 자유, 멜로망스에 이어 전인권 밴드의 무대를 끝으로 문화제가 모두 마무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