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처가 백부 독립유공 자료 조작·날조”

제주출신 항일비행사 유족 임정범씨 회견
“동명이인 4·3희생자 이유 ‘친북’으로 몰아”

2018-03-28     나철균 기자

항일운동을 펼쳤던 임도현 비행사의 후손들이 국가보훈처가 자료를 조작해 자신들의 조상을 독립유공자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임도현 항일 비행사의 조카인 임정범(63)씨는 28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보훈처가 백부인 임도현 비행사에 대한 제출 자료를 조작·날조하고, 심사 과정에서 친북세력으로 엮으려 한다고 주장했다.

임씨는 “독립유공 심사에 15년간 8차례나 탈락했다”며 “보훈처가 제주도보훈청의 제주 4·3 희생자에 ‘임도현’이라는 이름이 있는 것을 이유로 제주4·3과 백부를 엮어 친북세력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제주4·3공원추모공원에 새겨진 임도현씨는 여성인데다 백부는 제주 4·3과 전혀 관계없다”며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독립유공자 선정을 위한 재심 신청을 했지만 이마저도 뚜렷한 이유 없이 3·1절에서 8·15광복절로 연기됐다”고 밝혔다.

임씨에 따르면 보훈처는 임도현 비행사의 9개 핵심 자료 중 대부분의 자료를 독립유공 심사위원(채점관)에게 올려 보내지도 않고 빼돌리거나 부정적 내용만 올려 보냈고, 군 조종사 출신의 심사위원을 초빙해 달라는 자신들의 요구에 보훈처는 ‘괘씸죄’를 적용해 제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임도현 비행사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비행사로 제주 출신 남성이다. 1931년 일본 도쿄 인근의 비행학교에 재학 중 일본 전투기를 몰고 중국 상해로 넘어갔으나 곧바로 체포돼 제주로 송환됐다.

감옥에서도 계속 항일활동을 하던 중 제주에서 탈출, 목포 선착장에서 하선 하던 중 체포돼 불고문으로 죽임을 당해 41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또 윤봉길 의사 의거에 가담한 혐의를 받아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