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경선 ‘내홍 민주당’ 법정가나

김우남 측 “도의원 당시 송악산 땅 팔아 5억 차익”
문대림 측 “명백한 허위 주장…법적 조치 하겠다”

2018-03-26     김진규 기자

공천심사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제주도지사 예비후보들 간 내홍이 격화되면서 법적 공방으로 치닫고 있다.

민주당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가 오는 28일까지 서류 심사를 진행한 뒤 면접 일정을 조만간 결정할 계획이라 제주도지사 예비후보들은 ‘물러서면 끝’이라는 심정으로 배수진을 치고 있다.

지역별로 2~3명 정도로 압축해 경선을 치를 방침이어서 제주의 4명의 예비후보들 중 1~2명은 컷오프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당내 예비후보들 간 경쟁이 치열하다. 경선은 권리당원 50%와 일반국민 50%를 대상으로 치르고 최종 후보는 다음달 22일 즈음에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문대림 제주도지사 예비후보의 ‘유리의성’ 논란이 6·13 지방선거에서 도내 최대 이슈로 급부상한 가운데, 그 이면의 중심에는 공천 경쟁자인 김우남 예비후보가 자리한다. 강기탁·박희수 예비후보도 문 예비후보의 도덕적 검증에 나설 것을 요구한 바 있지만, 김 예비후보 만큼은 아니었다.   

유리의 성 논란에 대한 연일 맹공을 퍼붓고 있는 김우남 예비후보측은 26일 제주도의회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대림 예비후보가 도의원 시절 송악산 땅을 팔아 5억원 상당의 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전형적인 부동산 투기라는 주장이다. 

김우남 예비후보 고유기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당시 ‘부동산 투기’ 등 소위 ‘5대 비리 관련자는 고위공직에서 배제하겠다’고 공약했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투기 의혹이 있는 문 예비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기조와도 정면으로 대치돼 도지사 후보 자격이 없다는 주장이다.

고 대변인은 “문 예비후보가 2007년 토지를 매입할 당시에는 제주도 당국이 유원지 해제 등을 검토하던 시기”라며 “그가 송악산 땅의 매입과 쪼개기 등을 통해 매각한 2010년 4월과 5월은 유원지 해제 고지가 이뤄진 바로 직후”라고 주장했다.

이어 “땅을 매매하는 과정에서 문 예비후보는 도의회 환경도시위원장직과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시의회 위원직에 있었다”며 “어떠한 의도든 송악산 인근 땅을 사고 쪼개기 등을 통해 판 행위는 사실이다. 부동산 업자까지 낀 전형의 땅 투기 의혹도 있다. 이에 대한 분명한 해명이 있어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에 문대림 캠프는 대변인 성명을 내고 “고 대변인은 ‘유리의 성’에 대해서도 수차례에 걸쳐 아니면 말고 식 의혹만 제기하면서 흠집 내기에 혈안됐다. 오늘(26일)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한 주장도 명백한 허위주장이기 때문에 법적 조치하겠다”며 강경 입장을 피력했다.

이번 제주도지사 선거의 최대 관심사는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본선행 티켓의 주인공이 누구인지를 꼽을 수 있다.  

그러나 당내 예비후보들 간 깊어진 갈등의 골을 수습해 ‘원팀’으로 본선 경쟁에 돌입할 수 있을지 여부도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