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로당 무장봉기 4·3의 시작
무장대 1948년 4월 3일 경찰지서 일제 공격
미군정 오라리 방화사건 핑계 평화협정 파기
선거 거부 투쟁 도전으로 인식해 ‘도민 탄압’
[편집자주] 혼란했던 해방공간 시기 국가공권력에 의해 수많은 양민이 학살당한 제주 4·3이 발생한지 올해 70주년이 됐다. 4·3 70주년을 맞아 4·3의 완전한 해결과 정명(正名)을 위해 4·3의 역사를 다시 한번 되짚어본다.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한라산 중허리 오름마다 봉화가 붉게 타오르면서 남로당 제주도당이 주도한 무장봉기의 신호탄이 올랐다.
350명의 무장대는 이날 새벽 도내 24개 경찰지서 가운데 12개 지서를 일제히 공격했다. 이들은 경찰과 서북청년회 숙소, 독립촉성국민회, 대동청년당 등 우익단체 요인의 집을 지목해 습격했다.
이 사건으로 4월 3일 하루 동안 경찰 4명 사망, 6명 부상, 행방불명 2명, 우익인사 등 민간인 8명 사망, 부상 19명, 무장대 2명 사망, 생포 1명 등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미군정은 4.3이 발생하자 4월 5일 아침 전남 경찰 약 100명을 제주에 급파했다. 또 동시에 제주경찰감찰청 내에 ‘제주비상경비사령부’를 설치하고, 서청단원들을 증원했다.
미군정은 4월 17일 모슬포 주둔 국방경비대 9연대에 사태 진압을 명령했지만, 9연대는 ‘선선무 후토벌’을 원칙으로 정하고 무장대와의 평화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이에 4월말 9연대장 김익렬 중령과 연대 정보참모 이윤락 중위, 무장대 군사총책 김달삼 등이 만나 평화협상을 성사시켰다. 그러나 평화협상은 미군정 하지사령관의 무력진압 방침 결정으로 깨져버리고 말았다.
평화협상 직후인 5월 1일에는 오라리 마을 방화사건이 발생, 협상을 파기하게 되는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했다. 이 방화는 우익 청년들이 저질렀지만, 미군정과 경찰은 ‘폭도들이 한 행위’로 조작했다.
5월 5일 제주에서 미군정 수뇌부가 참석한 가운데 긴급대책회의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김익렬 연대장이 해임되고, 9연대장은 박진경 중령으로 교체됐다.
무장대는 5·10선거에 대한 적극적인 거부 투쟁을 전개했다. 5월 7일부터 10일까지 선거사무소를 집중 공격하고 선거관계 공무원을 납치·살해하고 선거인명부를 탈취했으며, 5월 10일 선거 당일에 무장대는 투표소를 공격했다.
결국 전국 200개 선거구 중 제주도 2개 선거구는 투표수의 과반수 미달로 무효 처리됐다. 5·10선거의 거부는 미군정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받아들여져 도민들에 대한 대탄압이 진행됐다.
미군정은 브라운 대령을 제주지구 사령관으로 임명해 강도 높은 진압작전을 전개하며 6월 23일 재선거를 실시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박진경이 11연대장에 취임하여 본격적인 토벌이 시작됐다. 5월 27일까지 붙잡힌 입산자는 3126명에 달했고, 6월 중순에는 무려 6000여 명에 달하게 됐다.
무리한 토벌이 이루어지자 서서히 경비대의 강경 방침에 반대하는 분위기가 고조됐다. 5월 20일 밤 9연대 병사 41명이 탈출하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6월 18일에는 박진경이 부하에게 사살됐다. 이 사건과 관련해 문상길 중위와 손선호·배경용·신상우 등이 체포되고, 군법회의를 거쳐 문상길과 손선호 하사가 처형됐다.
제주지역을 비롯해서 통일정부의 건설을 바라는 여러 정치세력들의 반대 속에 1948년 5월 남한만의 단독정부를 세우기 위한 총선거가 실시됐고, 국회에서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선출하면서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출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