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대·한동 주민 해상풍력 결단 촉구
제주시 평대리와 한동리 주민들이 2년째 제주도의회에서 표류중인 해상풍력사업을 ‘지역 숙원 사업’임을 강조하며 조속한 통과를 촉구했다.
평대·한동 해상풍력대책위원회는 29일 제주도의회 도민의방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평대 한동 해상풍력사업에 대한 결단을 내려달라”고 촉구했다. 이날은 평대 한동리에 해상풍력 사업 후보지로 선정된지 만 2년이 되는 날이다.
이들은 “원희룡 제주지사는 취임하면서 탄소 없는 섬, 이른바 ‘카본 프리 아일랜드’를 선포했지만, 신생에너지 정책은 4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어떤 진전도 없이 표류하고 있다”며 “원 지사는 마을주민과 세 차례의 면담에서 ‘주민들의 숙원사업인 만큼 적극 나서겠다’고 했지만, 결과를 볼 때 추진의지가 있는지 되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도의회를 겨냥해서도 “의회는 심의과정에서 SPC(특수목적법인) 설립과 경관 문제, 해양생태계 문제, 주민합의, 변전소 문제 등을 거론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인·허가 과정에서 환경영향평가법 등에 의해 용역조사 후에 도의회 동의절차 과정에서 다뤄져야 할 사항”이라고 했다.
이어 “이는 지구지정 동의과정에서 나온 사안이 아닌 만큼, 농수축경제위원회의 ‘월권’”이라며 “사업에 가·부 여부를 빠른 시일 내에 결정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 동의안은 2016년 8월 제주도의회에 제출된 이후 지난해 7월 임시회 때 거의 1년 만에 상정됐지만 심사 보류됐다. 지난해 제356회 정례회 기간 중인 11월 30일 재상정됐지만 격론 끝에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당시 농수축경제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해상풍력발전지구 사업 시행자인 제주에너지공사가 요건도 갖추지 않고 동의안을 제출했다”며 지역주민들에게 동의를 구할 것을 요구하며 의결을 보류했다.
한동·평대 해상풍력발전사업은 제주에너지공사가 사업 시행예정자로, 한동·평대리 해역에 사업비 4746억원을 투입, 연간 32만3415㎿h 규모의 풍력발전 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