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형 노인 공동홈 조성 필요”

제주연구원 조사결과 51% ‘30년 이상’ 주택 거주
고승한 위원 “주거복지 조례 제정 등 사업 검토”

2018-01-10     김종광 기자

제주지역 노인들의 주거복지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제주형 노인 공동홈 조성 사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제주연구원 고승한 연구위원은 ‘제주지역 노인주거복지 진단과 대응과제’ 연구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이 제주지역 거주 65세 이상 노인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 결과에 따르면 노인들 대다수(72.8%)가 본인 소유의 집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대개 전세, 월세, 연세를 지불하며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노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평균 연수는 29.2년으로 30년 이상 노후주택 거주자가 51.3%를 차지했다.

향후 거주 희망 주택유형으로는 단독주택(38.6%), 아파트(20.8%), 고령자 전용 국민임대주택(13.9%), 노인 공동 생활주택(12.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전용 주거시설에 입주하려는 이유는 생활의 편리성과 안정성(33.3%), 사회적 관계 형성(29.3%), 낮은 집값(13.3%) 등으로 조사됐다.

제주지역 노인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고 연구위원은 “노인주거복지 관련 조례 제정, 제주형 노인종합복지빌리지 조성 사업의 중·장기적인 구상, 고령자 전용 주거시설의 지속적 확충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인주거복지의 다변화와 질적 개선을 위해 노인주택자산 활용 프로그램 도입, 제주형 노인공동홈 조성사업(가칭), 노인주거복지 관련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고령사회로 진입한 제주지역은 최근 부동산과 주택가격 상승으로 노인주거의 불안정과 노후 불량주택의 불안전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