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급증 제주경제 ‘발목’ 우려

최근 증가율 25.2% 전국평균 3배 여전히 가팔라
금리 인상시 소비위축·부동산시장 악영향 불가피

2018-01-08     한경훈 기자

최근 도내에서 가계대출이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새해 금리 인상이 지역경제에 영향을 줄 주요 변수로 꼽히고 있다.

8일 도내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이 지난해 말 기준금리를 올린데 이어 올해도 한두 차례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리 인상 시 가계의 대출상환 부담 가중으로 소비 위축은 물론 가뜩이나 침체된 부동산시장 등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전망이다.

한국은행 제주본부는 ‘제주경제 2018년 전망’을 통해 “최근 부동산 시장 성장과 맞물려 제주지역 가계부채가 급격한 증가세를 나타낸 만큼 향후 금리 상승 시 도민 소비여력이 제한될 될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지난해 10월 말 기준 도내 금융기관 가계대출 잔액은 13조3519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25.2% 증가했다.

전년대비 가계대출 증가율이 2016년 11월(41.5%)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지난해 4월 37.8%, 6월 33%. 8월 28.2% 등으로 점차 둔화되고 있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여전히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0월의 경우 도내 가계대출 증가율이 전국평균(7.9%)을 3배 이상 웃돌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대출금리가 오르면 상환부담이 커져 금융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소비가 위축돼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를 경우 도내 가계의 원리금 상환부담은 연간 10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신용 위험 증가에 금융기관이 주택담보 등 대출을 강화하면서 주택 등 부동산 시장의 부진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가계부채 문제가 제주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우려가 있는 만큼 당국의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