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 먹는 제주관광공사 ‘또 손벌려’
내년 예산안에 인건비 명목 30억원 반영 요청
이선화 “경영개선 노력 없이 예산요구 부적절”
제주관광공사가 인건비 명분으로 30억의 예산안을 추가로 제출한 것과 관련해 이선화 제주도의원(바른정당, 삼도1·2, 오라동)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정부시책에 따른 일자리 창출 명목이라 하더라도, 경영개선 의지 없이 예산을 요구하는 것은 도민들도 납득하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이선화 의원은 22일 제356회 정례회 문화관광스포츠위원회 회의에서 “제주관광공사가 지난해 지방공기업 평가결과 가장 낮은 수준의 평가를 받았음에도 개선 노력 없이 도민 혈세에 다시 손을 벌리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신규 인력, 청년, 보조채용, 정책과 관련된 예산까지 도민세금으로 사용된다. 일자리 창출은 좋다. 하지만 이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을지 여부도 잘 모르는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라고 반분했다.
이 의원은 “30억원의 증액 요구만 있을 뿐, 신임사장이 와서 경영성과를 높이는 부분에 대해 일을 잘해보겠다는 예산 요청은 없다”며 “공사가 관광객 다변화 일을 하면서 경영성과를 올려야 할 사업이 필요한데, 정부정책이라고 해서 일자리 늘리는 것은 공사의 의무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에 이재홍 관광공사 본부장은 “경영평가가 저조한 것은 시내면세점, 비법정 항만시설 등 237억을 선투자한데 따른 것이다. 당해년도에 수익이 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이 의원이 “30억 추가요구가 적절한가”라고 재차 반문하자 이 본부장은 “적정성 여부를 떠나 관광공사는 다른 공사와는 달리 수익기반형 공사가 아니”라며 “면세수입을 통해서 자립 경영을 이뤄왔다. 2016년 2017년 선투자에 대한 원금이 회수되기 전까지 원포인트로 부득이하게 의회에 요청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신임 사장이 와서 의회나 도민들은 기대감이 높다. 하지만 변화의 변곡점, 경영악화가 개선되는 변곡점이 되길 기대하는 시점에서, 지난번 20억원의 운영비를 요구했을 때도 도민사회 우려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자리를 명분으로 30억을 요구하는 것은 타이밍 상으로도 적절치 않다. 경영악화 상황에서 신규채용, 임금인상 등을 추진하겠다는 것도 부적절하다”며 “도 관광국도 함께 책임을 공감하고 도민시선을 의식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