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오염 역추적장비 도입 시급하다
제주지역 지하수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대표적인 오염형태 가운데 하나는 질산성질소 농도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다.
실제로 지난달 24일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은 도내 농업용 지하수 관정 128곳을 대상으로 지하수 수질조사를 벌인 결과 서부지역 3개 관정과 남부지역 1개 관정에서 질산성질소 농도가 먹는 물 수질 기준(10㎎/ℓ)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그 외의 유해물질이나 농약 성분이 검출되지 않은 것은 천만다행이지만 일부 관정은 이미 먹는 물의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확인된 셈이다.
양돈장 밀집 지역인 제주지 한림읍 지역 A관정이 질산성질소 농도가 17.8㎎/ℓ로 ‘최고’로 조사됐다. 이어 한림읍 B관정은 10.4㎎/ℓ, 한경면 관정은 11.2㎎/ℓ, 서귀포시 대포동 관정은 12.8㎎/ℓ로 보고됐다.
지하수 오염 못지않게 심각한 것은 오염원 분석을 위한 핵심장비인 동위원소분석기가 없어 오염원을 역추적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도보건환경연구원은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도외 기관에 분석을 의뢰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각적인 오염원 추적이 불가능하다보니 지하수의 효율적 관리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도보건환경연구원이 지난달 기준치를 초과한 관정이 4개라고 발표하면서도 1개 관정에 대해서만 ‘축산폐수에 의한 오염’이란 결과를 내놓은 것도 분석 장비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당시 관련 예산이 없어 제주연구원을 통해 서울기초과학연구원에 의뢰, 분석 결과를 받은 것이라고 한다. 지하수의 중요성만 강조했지 오염 감시와 관리에는 소극적이지 않았는지 행정은 물론 도의회도 반성해볼 일이다.
사람이 사는 곳, 아니 생명이 있는 곳 어디든 물이 중요하지 않은 곳 없지만 ‘섬’인 제주도에는 그야말로 생명수다. 그러한 지하수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다는 것은 도민의 안위를 도외시한 것과 다를 바 없다고 본다.
특히 한림읍 지역에서 발생, 지역사회에 충격을 줬던 축산폐수 숨골 불법투기 사건 등도 분석 장비가 없어서 발생했을 개연성도 존재한다. 오염행위 등을 역추적해서 행위자가 적발되고 일벌백계로 다스린다면 섣불리 무단투기를 하지 않을 것임은 불문가지다.
동위원소분석기를 조속히 구입, 도내에서 검사가 가능해져야 함을 강조한다. 우리의 물은 우리가 지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