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하산 理事’ 에너지공사 뿐이겠는가

2017-10-24     제주매일

제주에너지공사는 도내 대표적인 공기업 가운데 하나다. 그런데 공사의 비상임이사를 둘러싸고 ‘낙하산 혹은 보은 인사’라는 비판이 나오는 등 말들이 많다. 이 문제는 에너지공사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도 불거졌다.

현재 제주에너지공사 이사회는 의장 포함 7명의 이사와 1명의 감사로 구성되어 있다. 정관을 보면 사장을 비롯해 에너지 담당국장 및 수산 담당국장은 당연직 이사다. 나머지 이사는 에너지·전기·수산 또는 세무·재정 분야의 전문가가 자격요건이다.

그러나 비상임 이사 면면을 보면 정관상의 자격요건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 일색이다. 의장을 맡고 있는 물리학과 교수는 그렇다 치더라도 경찰서장 출신과 모 정당 제주도당 대변인, 제주발전연구원 행정실장 출신 등이 이사직을 꿰차고 있다.

비상임 이사는 7인으로 구성된 임원추천위원회에서 추천하고 도지사가 임면한다. 임원추천위나 도지사는 최소한 비상임 이사의 자격요건 쯤은 알고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정관상의 규정은 ‘허명의 문서’였다. 비상임 이사 거의 전원이 ‘무자격자’로 채워진 셈이다.

이들은 직접 업무집행에는 참여하지 않는 비상근 직임에도 매달 80만원의 활동비를 꼬박꼬박 지급받고 있다. ‘낙하산 이사 또는 보은 이사’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궁금한 것은 이러한 행태가 과연 에너지공사에만 국한된 일이냐는 것이다. 미루어 짐작 하건데 제주개발공사나 관광공사, 그 밖의 제주도 출자·출연기관에도 만연해 있으리라 여겨진다. 제주자치도 등이 재삼 숙고할 일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