元 지사 “대중교통 책임지고 정착”
어제 개편 한달맞이 기자회견서 ‘혼란 초래’ 공식 사과 후 개선 약속
“처음엔 불편 할 수 밖에…성패 도민 협조에 달려” 적극적 동참 당부
대중교통체계 개편 이후 버스 이용객들의 불만이 가라앉지 않고 있는 가운데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제기된 문제점들을 하루빨리 개선해 불편과 혼란을 최소화하겠다며 공식 사과했다. 원 지사는 그러면서 다음 세대를 위해 반드시 추진해야 할 정책 중 하나라며 불편사항을 꼼꼼히 챙겨 대중교통체계를 끝까지 책임지고 정착시키겠다고 역설했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26일 오전 제주도청에서 대중교통체계 개편 한 달을 맞아 기자회견을 열고 “완벽하게 기반시설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개편을 시행해 도민들이 불편을 겪었다는 것을 잘 알고 있고, 이번 매우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머리를 숙였다.
원 지서는 “지난 한 달 동안 도민들은 노선과 배차 간격, 통학·통근, 정류소, 버스정보시스템, 버스시간표 안내와 환승, 축소된 인도 문제 등 여러 가지 불편을 제기했다”며 “도민이 느끼는 불편과 혼란을 방치하지 않을 것이며, 개편된 대중교통체계가 정착될 때까지 책임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제주도에 따르면 대중교통체계 개편이후 한 달 동안 제주도에 마련된 대중교통상황실 1986건, 120 콜센터 1만9471건 등 모두 2만1457건의 대중교통체계 관련 불만이 접수됐다.
원 지사는 “제기된 불편(만)은 개편 초기 일주일에 몰려 있다”면서 “제주도는 통학 및 출근 불편 해소를 위해 11개 노선을 신설하고, 16개 노선의 운행경로 변경, 29개 노선의 배차 간격을 조정하는 등 불편 최소화를 위해 노력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편 효과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효과가)분명 나타나고 있다”면서 “개편 이후 빅데이터 분석결과, 이용객이 7%증가했고 약8억원의 통신비 절감효과도 거뒀다”고 자평했다.
대중 교통체계 개편의 성패는 도민들의 참여와 협조에 달려있다며 렌터카 총량제, 자가용 운행제한 부제 실시 등 과학적인 교통정책을 수립·운영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원 지사는 “승용차 중심의 교통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많은 이웃들이 불편해 질 수 밖에 없다”면서 “도민 모두가 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활성화에 도민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요청드린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