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책임지고 4·3 바로잡겠습니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이 제주4·3의 완전 해결을 약속했다. 지난 16일 초도방문차 내도, 제주4.3평화공원을 방문, 위령제단을 참배한 뒤 위패봉안소 방명록에 “4·3 희생 영령들이시여, 왜곡되고 억울한 당신들의 한스러움을 반드시 바로잡겠습니다.”고 적었다.
김 장관은 4·3평화공원에서 4·3유족회 임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선 “지난 10년간 4·3 문제를 정부가 방임해 죄송하다”고 사과까지 했다. 이어 “과거사 문제 해결에 대한 문재인 정부 입장은 확실하다”며 “내년 제70주년 4·3 추념식은 대한민국 국민들이 4·3의 역사를 기념하고, 정부가 사죄하는 계기가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한 배·보상 문제에도 적극적 입장을 피력했다. 김 장관은 “유족들에게 남아있는 시간들이 많지 않다. 이분들이 돌아가시기 전에 국가가 사죄해야 한다”고 밝혔다. 제주4·3추념일에 대한 임시공휴일 지정하는 제안에도 “최소한의 예의”라며 긍정적으로 답했다.
김 장관의 “억울함을 반드시 바로잡겠다”는 약속 등은 그야말로 도민들은 물론 4·3 유족들이 국가로부터 그토록 듣고 싶어 했던 말이다. 만시지탄이나 지금이라도 정부의 책임 있는 장관이 공언을 함으로써 다행이 아닐 수 없다.
내년 4·3 ‘70주년’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김 장관의 약속이 지켜진다면 이보다 큰 ‘선물’도 없을 듯하다. 이러한 정부의 방침을 쌍수 들어 환영한다.
그래서 반드시, 이번에는 4·3의 완전한 해결을 이뤄내야 할 것이다. 군사정권에서 어둠으로 덧칠해졌던 4·3 역사 바로잡기가 지난 보수정권 9년 동안 뒷걸음질쳤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제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4·3진상규명을 통한 완전한 해결의 목적은 처벌이 아니다. 해원을 통한 화해와 상생으로 미래로 가기 위한 ‘정리’다.
문재인 정부만의 노력으로 될 일이 아니다. 이른바 보수 정치권의 도움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예산 확보만 하더라도 그렇다.
거듭 강조하지만 4·3의 완전한 해결은 누구의 잘못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희생자’인 가해자나 피해자 모두의 ‘새 출발’을 위한 노력이다. 가슴에 생채기를 담아둔 채 해원은 불가능한 일이다. 피해자로서, 그리고 시대적 상황 때문에 가해자여야 했던 서로의 아픔을 보듬을 수 있는 4·3 70주년을 위한 정부의 ‘약속’을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