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여행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걷기 열풍 일으킨 제주올레 7일로 개장 10주년
작년까지 탐방객 720만명 대표 브랜드로 성장
대한민국 전역에 걷기 여행의 열풍을 일으킨 제주올레가 7일로 개장 10주년을 맞았다.
2007년 9월 7일 비영리 민간단체인 (사)제주올레를 발족하고 첫걸음을 뗀 제주올레는 현재 제주를 한 바퀴 걸어서 여행하는 정규코스 21개와, 중산간과 곶자왈, 우도, 가파도, 추자도 등 부속 섬에 알파코스 5개 등 총 26개 코스 425km에 이르는 길을 열렸다.
개장 이후 지난 2016년까지 약 720만명이 올레길 탐방에 나선 것으로 추산된다. 완주자도 지난 한 해만 624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제주올레는 특히 ‘자연과 지역과 함께 하는 길’의 가치와 노하우를 전파하며 글로벌 무대로 브랜드를 확장했다. 제주뿐만 아니라 규슈올레, 몽골올레 등 오픈에 산파역을 했다.
제주올레는 지난 10년간 제주를 대표하는 브랜드로 성장했다. 2014년 제주도 농촌활성화지원센터의 ‘제주올레의 관광자원으로서의 경관가치 평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제주도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한라산 제외)로 올레길을 꼽은 응답자가 22.6%로 1위를 차지했다.
명실상부한 제주 여행의 대표 상품답게 지역경제 등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승규(지방행정연구원 지역경제분석센터장)․오성익(존스홉킨스대 국제정치학) 박사의 최근 분석자료인 ‘제주올레길 경제효과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올레길은 지난 한 해 제주 지역에서 559억원의 생산효과를 창출하고, 같은 시기 농림수산업, 음식점, 숙박업 등 지역 산업에는 249억원의 부가가치 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올레 관계자는 “앞으로 10년을 넘어, 100년, 1000년 지속 가능한 제주올레 길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