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정치권 ‘선거구 조정’ 어떻게 돌파할까
“‘도의원 증원’ 권고안 무시” 획정위 위원들 집단 반발
元지사 강 위원장 만나 ‘재발방지 약속’ 가능성도 제기
4일 강창식 선거구획정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위원들이 더 이상 선거구 획정을 추진할 이유가 없다는데 의견을 모아 전원 사퇴하며 '선거구 전면 재조정' 사태가 파행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제주 정치권이 이 난관을 어떻게 풀어갈지 관심이 모인다.
지난 2월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마련한 도의원 증원 권고안에 대해 7월 도·도의회·국회의원들이 도민 및 선거구획정위원회에 어떠한 설명도 없이 여론조사를 다시 진행하고, 여론조사 결과로 나타난 비례대표 축소에 대해서도 특별법 개정을 시도하다가 중도에 포기해 결과적으로 선거구획정위원회에 떠넘겼다는 이유의 사퇴다.
강 위원장은 지사의 사과는 있었지만, 일련의 사태에 제대로 해명하지 못했다고 부연했다. 또한 앞으로 논의한다고 하더라도 획정위의 결정이 존중받지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 위원장은 “일을 벌인 사람들이 책임져야 한다”며 원희룡 제주도지사와 신관홍 도의장, 지역 출신 강창일·오영훈 국회의원을 겨냥하는 등 완강한 입장을 피력했다.
다만, 간담회 전날(23일) '순리대로 풀겠다'고 언급해 여지는 남겼다는 시각도 있다.
일련의 사태로 볼때 원 지사가 강 위원장을 다시 만나 획정위의 결정에 대한 존중 등 재발 방지를 약속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지방선거 6개월 전인 오는 12월 12일까지 선거구획정안을 제출해야 하는 원희룡 제주도정 입장에서는 더 이상 지체할 시간이 없다.
제주도의회도 이번 사태에 “의회 차원의 공식입장은 없고 지켜보겠다”면서도 "도에서 진정성 있는 해명이나 사과를 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또한 선거구 분구에 따른 일부 의원들의 반발도 잠재워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네 탓 공방을 거듭하는 정치권에 대한 따가운 도민들의 시선도 "더 이상의 파행은 막아야 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선거구획정위의 이번 결정과는 별도로 제주도와 도의회, 국회의원 3자도 이 문제에 대한 논의도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