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도로 출하 가능 불구
장비 부족 지역 ‘빈익빈’
제주도정 겉도는 감귤 정책
<2> 너무 부족한 광센서 선과기
제주감귤의 위상이 추락하고 있다. 여러 국가와의 FTA 협상 발효에 따라 다양한 외국산 과일이 수입되고, 연중 국내소비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대외적 환경과 품종개량과 품질개선, 저장기술의 발달로 국내 과일들의 품질향상 속도가 빨라지면서 경쟁구도는 더욱 치열하다. 향후 풀어야할 과제들을 들여다본다. [편집자주]
제주특별자치도가 크기와 상관 없이 당도가 높은 감귤 출하를 허용키로 했지만, 인프라 부족으로 지역에 따라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올해부터 당도를 기준으로 상품과 비상품으로 구별돼 판매되지만 이를 골라낼 선별기가 부족한 탓이다.
지난 6월 22일 당도기준을 병행 적용하는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계 시행규칙’이 시행되면서 당도가 10브릭스 이상인 경우 크기와 상관없이 출하할 수 있게 됐다.
이를 위해서는 객관적으로 당도를 판정할 수 있는 광센서 선별기 공급 여부에 성패가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도내 전체 선과장 443개소 중 43개소에만 설치됐다.
43개 중 대형APC 10개소 중 서귀포에 29개, 제주시 3개이며 중형 30개소는 서귀포시 21개, 제주시 9개, 소규모는 서귀포시 2개, 제주시 1개로 서귀포에 편중돼 있다. 감귤 농가가 서귀포시에 편중돼 있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제주시의 경우 접근성이 떨어져 처리 시간이 상대적으로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게다가 규모가 큰 농·감협(30개)에 집중돼 있고 영농법인은 13개소에 불과하다.
올해 9개 선과장에 광센서 선별기가 공급되는 것이 그나마 위안이지만 이 역시 규모가 어느정도 있는 곳이다.
소규모 생산자 조직과 유통인들의 경우 6억 8000만원 상당의 광센서 선별기를 도입하려 해도 부담이 많다.
보조금을 준다 하더라도 관리규정에 따라 40%의 자부담을 껴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이 고품질 감귤 생산 기준에 맞추고 싶지만 광센서 선별기가 없어서 여건상 하지 못하고 있다. 부익부 빈익빈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올해 52개소의 선과장이 소화할 수 있는 규모가 연간 감귤 50톤 가량의 절반도 안되는 20톤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을 통해 보다 저렴한 1억원에서 2억원대의 광센서 선별기를 개발 중이다. 소규모 선별장의 경우 4조 라인이 아닌 2조 라인만으로도 처리가 가능 할 것"이라며 "올해 하반기에 수요조사를 통해 내년 예산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1997년 감귤조례 제정 이후 지금까지 10여 차례의 개정이 있었지만, 감귤 정책이 대내외 환경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다. 출하량 조절에만 급급했던 기존 정책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런 시점에서 고품질 감귤로 성장기 산업으로 탈바꿈하려는 시도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
유통의 절반을 담당하고 있는 소규모 생산자 조직과 유통인들이 과거 물량 중심에서 품질 중심으로 탈바꿈 하기 위해서는 농정의 현실적 대안과 세심한 지원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