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시장 양적성장 불구 질적 수준은 저하
인구 순유입 증가로 인한 최근 5년 취업효과 5만3200명
부가가치 낮은 업종 취업 집중 1인당 노동생산성은 감소
인구 순유입 증가로 제주지역 고용시장이 양적 성장을 하고 있는 반면에 노동생산성이 감소하는 등 질적 수준은 저하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 제주본부는 27일 ‘인구 순유입이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분석결과를 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취업자수는 2011년 증가로 전환된 이후 매년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 6년간 7만명 증가하면서 2016년 말 현재 취업자수가 35만명에 이른다.
취업자수 증가 원인으로는 지역경제 호조 및 순유입 인구 증가 등이 꼽혔다. 도내에 순유입 인구 1명이 증가하면 평균적으로 1.01명의 취업자수가 증가하는 효과(직접효과 0.63명, 간접효과 0.38명)가 발생하는 것으로 제주본부는 추정했다.
최근 5년(2012~2016년)간 도내 인구 순유입은 5만2700명. 이로 인해 5만3200명의 취업효과가 발생한 셈이다. 이 중 3만3300명은 순유입된 인구가 제주에서 취업한 경우(직접효과)이며, 1만9900명은 인구 증가에 따른 내수지장 확대로 2차적으로 유발된 것이다.
그러나 취업자수 증가로 인해 1인당 노동생산성(취업자 1인당 생산액)은 최근 5년간(2012~2016년) 370만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도내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연간 0.9% 포인트에서 2.3% 포인트까지 하락했다. 이는 고용이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 상대적으로 부가가치율이 낮은 관광서비스업에 집중된 데 기인한 것으로 제주본부는 보고 있다. 도내 인구 순유입 증가로 고용시장이 양적 성장을 했으나 단순 서비스업 위주의 산업구조가 고착화되고, 업체간 경쟁도 심화되면서 노동생산성은 떨어져 질적 성장은 안 됐다는 것이다.
제주본부 관계자는 “기존의 단순 서비스업 구조가 지속될 경우 전국과의 노동생산성 격차는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며 “인구 순유입이 제주지역 경제의 질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신성장동력 발굴, 산업구조 다각화를 위한 창업 지원, 관광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