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 앞바다 ‘생태계 갈등’도 복원하자
제주해군기지 건설로 인해 연산호 등 강정 앞바다 생태계가 심각하게 훼손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강정마을회와 제주군사기지 저지와 평화의 섬 실현을 위한 범도민 대책위원회, 제주해군기지전국대책회의는 26일 도의회에서 ‘강정 앞바다, 연산호 훼손 실태 보고서’를 공개하고 10여 년간 강정 앞 바다의 ‘연산호 군락지 훼손 기록’을 공개했다.
강정 앞 바다 수심 15m 주변은 환경부 지정 멸종 위기 종 9종을 30분 만에 발견할 수 있을 정도로 군락지였으나 지금은 아니라는 것이다. 강정등대 남단 90m 수심 15m 지점의 수중동굴을 지난 2008년과 2015년 교차 촬영한 사진만 봐도 해군기지 건설에 따른 수중 생태계 파괴의 심각성을 짐작하고도 남을 정도다. 해군기지 공사 이전엔 울긋불긋 단풍나무와도 같이 천연색의 산호로 아름답던 동굴 입구 아치가 불과 7년만에 산호가 다 사라지고 회색의 콘크리트처럼 ‘백화’돼 버린 것이다.
문제는 공사도 공사지만 정부의 잘못된 대처였다. 강정 앞 바다는 생물권보전지역·생태계보전지역·천연기념물 등 7가지 보호구역으로 중복 지정된 곳이었다. 그런데 2007년 해군기지 건설부지로 확정되면서 보호구역이 해제돼 버린 것이다. 이후 대대적인 매립과 조류 흐름 변경, 퇴적된 부유물질 발생 등으로 연산호 군락들이 죽거나 훼손되기 시작한 것이다.
과제는 환경을 복원하는 일이다. 파괴야 순간이고 복원은 ‘부지하세월’ 일지라도 복원해야 한다. 건강한 생태계는 청정제주의 경쟁력일 뿐만 아니라 건강한 도민 삶에도 직결되는 요소다.
문재인 대통령의 새 정부에 기대를 가져본다. 구상권 청구 철회 등 해군기지 관련 갈등의 해결을 약속한 만큼 ‘인간’의 갈등뿐만 아니라 환경의 갈등도 같이 해결해줄 것을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