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가 비정규직인 제주테크노파크
2017-07-16 제주매일
문재인 정부의 최대 화두는 ‘일자리 창출’이다. 특히 문 대통령은 양질의 일자리를 강조하며, 그 일환으로 먼저 공공부문부터 ‘비정규직의 정규화’를 촉구했다.
그렇다면 제주지역의 경우는 어떤가. 보도에 의하면 도내 공공기관별 비정규직 수가 천양지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제주개발공사(삼다수)의 경우 전체 직원이 800명에 육박하지만 경비 업무를 제외하곤 단 한명의 비정규직도 없다. 제주에너지공사 또한 비정규직이 ‘제로’다. 제주관광공사는 비정규직이 7명으로 집계됐으나 130명이 넘는 직원 수를 감안하면 아주 미미한 상태다.
이에 반해 제주테크노파크는 비정규직 문제가 아주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총원 142명 가운데 비정규직이 55명으로 무려 38.7%에 달한다. 10명 중 4명이 비정규직인 셈이다. 물론 업무 특성상의 이유도 있지만 이것만 갖고는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
제주테크노파크의 예산 규모는 2014년 452억원에서 지난해 830억원으로 83.6%나 증가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정원은 85명에서 91명으로 고작 6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뭐가 잘못되어도 한창 잘못된 것이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위해 정원을 늘리기 위해선 제주도와 산업통산자원부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고 하는데, 그동안 그런 노력을 기울여 왔는지 의문이다. 이 지경이 되도록 ‘나 몰라라’하고 방치한 제주도의 책임 또한 크다고 하지 않을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