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난 제주소방 해수욕장까지 ‘한숨’

2017-07-11     제주매일

여름 피서철이 되면 제주소방의 한숨은 더욱 깊어진다. 고유 소방업무만 해도 인력난으로 허덕이는 가운데 해수욕장 안전까지 도맡아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 2015년 해수욕장 안전관리 업무가 해경에서 지방자치단체로 이관되면서 그 무거운 짐은 결국 소방에서 맡게 됐다. 당시 ‘세월호 참사’에 따른 정부의 즉흥적 결정으로 해경이 전격 해체되면서 빚어진 일이다.

그렇다면 인력이라도 충원해줬어야 했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는 가뜩이나 소방 인력이 부족한 사실을 알면서도 단지 ‘구조전문’이란 명목을 앞세워 소방에 관련 업무를 떠맡긴 채 ‘나 몰라라’로 일관하고 있다.

제주도 소방안전본부에 의하면 올해의 경우 도내 11개 해수욕장에 30명의 ‘해수욕장 안전팀장’을 배치했다고 한다. 지난해보다 2배나 많은 인력이다. 특히 방문객 30만명 이상인 이호와 함덕, 중문과 협재 해수욕장에는 개장 때부터 폐장 때까지 구급차 1대에 대원 2명을 해수욕장에 배치해 현장 응급환자 처치와 병윈 이송을 돕도록 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그렇지 않아도 부족한 인력을 여기 저기서 쪼개 나눠 쓰고 있다는 점이다. 때문에 제대로운 해수욕장 안전관리가 이뤄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연의 소방업무에도 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를 감안해 민간구조요원을 선발하고 해경 또한 일부 인력을 해수욕장에 배치하고 있으나 역부족인 상황이다. 민간요원의 경우 현장경험이 부족한데다 해경 업무는 익수자 구조 등에 한정된 탓이다.

이에 따라 해수욕장에 근무하는 소방관들은 조마조마하며 피서철이 빨리 지나가기만을 바라고 있다. 대형사고가 터져야 인력 충원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것인지, 아직도 여전한 ‘뒷북행정’이 지겹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