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원 태양광’사업자 ‘딴소리’에 삐걱
대우건설 ‘임대료·경제성’등 제안서 번복 착공 지연
20년 운영 조건 변경 시도…道 “농가수입 우선”입장
'감귤원 태양광 전기농사’ 사업이 사업자인 대우건설 측이 경제성을 이유로 사업구조 변경을 시도하면서 착공이 지연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4월 중 착공하기로 했던 ‘감귤원 태양광 전기농사’ 사업진행이 다소 늦어지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제주도가 역점 추진하는 ‘감귤원 태양광 전기농사’ 사업은 탄소없는 섬 구현과 태양광발전사업 부지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감귤 폐원지 등을 활용해 태양광 발전을 통해 농민의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추진됐다.
농가는 토지를 제공해 20년간 안정적으로 수익을 제공 받는 구조로 진행되는 사업으로, 사업자는 농가의 토지를 임차해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 및 운영하고 농가에게 수익을 보장한다.
이 사업은 지난해 6월 17일 111개소의 참여 농가 선정과 9월 22일 사업자인 대우건설 컨소시엄을 선정한 이후, 올해 1월 23일을 시작으로 (주)제주감귤태양광과 농민이 임대차 계약을 시작해 3월까지 최종 85개소 40MW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문제는 올해 폭발적으로 늘어난 신재생에너지 사업 인허가로 인해 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있고 주 사업자인 대우건설이 1MW 기준 연평균 5100만원의 높은 임대료로 인해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제안과는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당초와는 다르게 장기간 사업 참여가 부담스러워 20년간 책임지고 관리 운영하는 사업구조를 변경하려는 것이다.
올 4월 사업구조 변경 징후를 확인한 제주도는 사업자에게 당초의 안정적인 사업구조로 추진할 것을 법적, 재정적 책임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고상호 제주도 경제통상산업국장은 “사업 착공 시기가 다소 늦어지더라도 농민의 안정적인 수익 보장이 우선이라는 기조로 관련한 우려사항을 조기에 해소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로 인한 농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행정력을 집중해 적극 대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