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의 度 넘은 ‘원희룡 지사 때리기’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위원장 김우남)의 ‘원희룡 지사 때리기’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제주도당은 지난달 29일 원희룡 지사 취임 3주년 회견(28일)과 관련 논평을 내고 원 도정 3년을 ‘잃어버린 3년’으로 규정했다. 이어 “원 지사는 더 이상 도정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말라”고 혹평을 쏟아냈다.
제주도당은 출범 직후 제주와 무관한 측근들을 대거 요직에 기용하며 시작됐던 원 도정의 행보는 협치·불통 논란을 일으키며 오로지 대선을 향한 정치 행보와 연결시켰다고 주장했다. 또 강정 진상조사를 공약했다 무산되자 주민 탓으로 돌려 공약을 폐기했는가 하면, 제1 공약으로 내세웠던 4·3평화공원 사업예산은 임기 중 단 한 푼도 확보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원희룡 도정 출범 초기 내세웠던 ‘협치(協治)’는 이른바 ‘제주판 3김과의 협치’ 논란만 남긴 채 실종되는 등 취임 2년 6개월 동안은 대선 행보를, 지난해 불출마 이후에는 ‘재선’에 몰입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꼬집었다. 특히 제주개발에 대한 원 지사의 태도를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몰아세우며, 자본검증을 이유로 절차가 지연되는 오라관광단지 문제에 대해선 “전형적인 ‘물타기’이자 꼼수”라고 혹평했다.
민주당의 도(度)를 넘은 ‘원 도정 때리기’에 바른정당도 발끈했다. 바른정당 제주도당은 반박 논평을 통해 “민주당의 원희룡 도정 3년 평가는 내년 지방선거만을 염두에 둔 현직지사 ‘흠집내기’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라며 도민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객관성과 합리성은 눈을 씻고도 찾아볼 수 없다고 맞받아쳤다.
이어 “민주당 도당의 아전인수식 해석은 도민 갈등을 부추겨 1년이나 남은 지방선거를 조기 과열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며 “새 정부와 집권여당이 제주도정을 대신할 수 없다. 민주당 도당은 집권여당의 본분을 망각해선 안 된다”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사실 민주당의 ‘원 지사 때리기’는 논평이라기 보다는 선거유세 때의 발언과 흡사하다. 더욱이 김우남 도당 위원장은 내년 지방선거의 유력한 민주당 도지사 후보라는 점에서 그 저의를 의심하지 않을 수가 없다. 4·3평화공원 예산과 강정마을 문제만 하더라도 그렇다. 제주 출신 민주당 국회의원들은 그동안 지역발전과 화합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 왔는가.
민주당도당의 논평처럼 지금은 새로 출범한 문재인 정부와 함께 여·야 모두 제주발전을 위한 ‘골든타임’에 주력할 때다.